2019030701000594900028202.jpg
한국지방신문협회 제55차 정기총회가 열린 7일 전주시 그랜드힐스턴호텔에서 9개 회원사 대표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제주신보 오영수 회장, 강원일보 박진오 사장, 전북일보 서창훈 회장, 부산일보 김진수 사장, 매일신문 이상택 사장, 경남신문 최광주 회장, 경인일보 김화양 사장, 광주일보 김여송 사장, 대전일보 강영욱 사장. /한신협=전북일보 제공

한국지방신문협회(이하 한신협)는 디지털 시대 지역뉴스 불균형을 바로잡기 위해 포털의 지역뉴스 차별 정책 개선을 촉구하고 공동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경인일보를 비롯한 전국 주요 9개 지방 신문사 발행인들로 구성된 한신협은 7일 전주 그랜드힐스턴 호텔에서 제55차 정기총회를 열고 ‘포털의 지역언론 죽이기 중단하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채택했다.

한신협은 특히 포털의 지역뉴스 차별과 배제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 대응에 힘을 모으기로 하고 디지털 담당 부서 간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지속적인 여론 확산 및 정치권의 관심을 강력히 촉구해 나가기로 했다.

정기총회에는 박진오 강원일보 사장, 최광주 경남신문 회장, 김화양 경인일보 사장, 김여송 광주일보 사장, 강영욱 대전일보 사장, 이상택 매일신문 사장, 김진수 부산일보 사장, 서창훈 전북일보 회장, 오영수 제주新보 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제8대 회장인 안병길 전 부산일보 사장이 퇴임함에 따라 제9대 회장으로 이상택 매일신문 사장을 선출했다.

회원사 대표들은 이날 총회에서 지역 언론을 대표하는 언론단체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지역신문 활성화를 위한 의견 전달 창구를 마련하기로 합의했다.

핵심 국정과제인 자치분권과 지역 균형발전 실현을 위한 견인차 역할을 위해 공동기획 보도 및 사업을 추진키로 하고 지역사회 공헌 활동을 위한 공동사업도 적극 추진하기로 결의했다.

2019030701000594900028201.jpg
한국지방신문협회 제55차 정기총회가 열린 7일 전주시 그랜드힐스턴호텔에서 9개 회원사 대표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제주신보 오영수 회장, 강원일보 박진오 사장, 전북일보 서창훈 회장, 부산일보 김진수 사장, 매일신문 이상택 사장, 경남신문 최광주 회장, 경인일보 김화양 사장, 광주일보 김여송 사장, 대전일보 강영욱 사장. /한신협=전북일보 제공


[다음은 공동 성명서 전문]

포털의 지역 언론 죽이기 중단하라

지역 언론의 운명이 절벽 끝에 섰다. 한 발만 더 밀리면 생명이 끝날 절체절명의 위기다.

정부와 정치권이 지역 언론의 위기를 외면하는 사이, 그나마 어렵게 버텨가던 지역 언론의 기반마저 뒤흔드는 일이 벌어졌다.

포털기업 네이버는 지난해 뉴스편집에서 손을 떼고 '구독자' 중심의 모바일 뉴스환경을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구독자'를 늘릴 수 있는 언론사는 콘텐츠 제휴계약을 맺어 네이버 채널 리스트에 올라 있는 44개 서울 매체에 불과하다. 지역 신문은 한곳도 없다. 콘텐츠 제휴가 되어 있지 않다는 이유로 뉴스 편집 첫 화면에서 소외돼 왔던 지역 정론 언론은 이제 네이버에서 구독자를 늘릴 기회조차 갖지 못한다.

설상가상으로 네이버는 지난달 뉴스 검색 알고리즘마저 바꿨다. 네이버가 정한 기준에 따라 언론사에 점수를 매기고, 그 점수에 따라 검색 결과 리스트의 순위를 정하는 방식이다. 이 알고리즘을 변경하지 않는 한 지역 언론의 기사는 발품을 팔아서 쓴 '단독'과 '1보' 기사라도 검색 첫 화면에서 찾아보기 힘들게 됐다.

실제 지난 28일 부산 광안대교를 러시아 화물선이 충돌한 사건을 부산일보가 가장 먼저 동영상을 첨부해 1보를 전송했지만 네이버 뉴스 검색 상단은 뒤따라 쓴 서울의 제휴 매체 기사로 채워졌다. 지역 신문의 기사는 검색 상단에 걸렸다 해도 콘텐츠 제휴사가 해당 뉴스를 쓰기 시작하면 비(非) 제휴매체인 지역 신문의 기사는 순식간에 밀려나는 것이다.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힘겹게 버티다 끝내 운동장 밖으로 밀려나는 참담함을 느낀다.

뉴스 품질 저해 때 상위 노출을 시키지 않겠다는 네이버의 설명도 납득이 되지 않는다. 비슷한 기사를 묶어주는 '클러스터링' 기술을 악용한 언론사 기사는 여전히 검색 상단을 차지하고 있다. 언론사와 기자 바이라인만 다를 뿐 제목과 내용은 같은 기사들이다.

우리나라는 포털과 모바일을 통한 뉴스 유통 비중이 월등히 높다. 이 같은 뉴스 유통시장의 특성을 감안할 때 현재와 같은 네이버의 지역 매체 배제는 디지털 뉴스 시장에서 지역의 목소리를 틀어막고 서울의 여론만 확대재생산하는 결과를 낳는다. 지역 매체에게는 디지털 공론장에서의 도편추방이나 다름없다.

지역 언론의 위축은 여론의 다양성을 보장하는 민주주의 위험이자 지방자치의 왜소화로 이어진다. 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지역과의 상생'도 지역 언론을 통해 정책과 여론이 소통될 때 비로소 가능하다.

한국지방신문협회는 작금의 현실이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지역발전을 가로막는 심각한 상황으로 규정하면서 네이버를 비롯한 포털사와 뉴스제휴평가위원회, 정부와 국회에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우리의 요구>

1. 네이버, 카카오, 뉴스제휴평가위원회는 지역 언론과의 제휴를 대폭 확대하고 독자들이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뉴스를 구독할 수 있도록 뉴스 선택권을 돌려 달라.

1. 네이버는 모바일 콘텐츠 제휴사, 클러스터링 중심 뉴스를 우대하는 알고리즘을 폐기하라.

1. 정부는 위기에 빠진 지역 언론이 활력을 회복해 지역언론의 역할을 다 할 수 있도록 지역 언론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시행하라.

1. 정부는 뉴스 유통을 장악하고 있는 포털 기업들이 이윤을 앞세워 언론시장을 황폐화하고 있는 현 상황을 개선할 방안을 마련하라.

1. 국회는 언론의 중앙 집중과 지역 언론 차별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법안들을 마련하라. 특히 이미 발의된 '포털의 위치기반 뉴스서비스' 법안과 '지역뉴스 일정 비율 이상 노출 의무화' 법안 등을 속히 처리해 시행될 수 있도록 하라.



2019. 3. 7

한국지방신문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