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보조사업·인건비 치중 부담
지역수요 반영 자율 활용 개선을
중앙정부에서 배분되는 보통교부세가 지방재정 지출의 자주적인 의사결정에 부합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14일 보통교부세가 지방정부의 자체세입 및 재정지출에 미치는 효과와 재정적 의사결정의 자율성을 분석한 '보통교부세의 기초지방자치단체 재정지출 영향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통교부세는 지방정부에서 수입으로 충당할 수 없는 부족분을 보전하기 위해, 중앙정부로부터 배분되는 지방교부세로 지방정부가 스스로 사용할 수 있는 재원이다.
지방교부세는 지난해만해도 전체 지방예산 수입가운데 3번째에 달했다. 또한, 보통교부세는 지방교부세의 9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경기연구원이 최근 보통교부세와 지방재정 예산자료를 분석한 결과, 보통교부세는 지방정부의 수입과 지출 모두에서 전략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 부분에서는 보통교부세의 증가와 세외수입의 증가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출 부분에서는 보통교부세가 증가할 때 기능별로는 일반공공행정, 농림해양수산, 수송 및 교통, 국토 및 지역개발 분야의 지출이 증가했다.
이용환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민간이전이나 기금전출 등의 지출증가는 재정지출이 민간부분의 사회참여 및 활동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며 "보통교부세가 지역경제, 특히 사회자본의 확충을 통한 지역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재원으로서 긍정적인 작용을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이 선임연구원은 "보통교부세가 농림해양수산, 수송 및 교통, 국토 및 지역개발 등 중앙정부의 보조사업이 많은 부문에 지출되고 있다"며 "행정인력에 대한 인건비 지출이 많은 점도 보통교부세를 활용하는 지방정부에게 부담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자율적인 지방재정을 위한 개선방향으로 ▲보통교부세 배분에서 지방정부의 자체세입 노력에 대한 반영도를 높이도록 배분구조를 개선하고 ▲중앙정부보조사업의 보조율을 상향 조정 ▲보통교부세의 배분보다는 지방세의 세원을 확대해 자체사업을 증대할 것 등을 제안했다.
/조영상기자 donald@kyeongin.com
[경기연구원 보고서 발표]"보통교부세, 지방정부 자주적으로 집행해야"
입력 2019-03-14 22:11
수정 2019-03-14 22:11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03-15 4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