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이 서울 저가주택을 사려면 21년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 사는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체감 집값이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KB 주택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연 소득(명목) 하위 20%인 1분위 가구(2인이상·도시가구)의 서울 주택 가격(KB시세) 1분위 기준 소득 대비 주택가격(PIR)은 21.0로 나타났다.
이는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 가구가 소득 수준과 비슷한 하위 20% 가격의 주택을 사려면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21년간 모아야 한다는 뜻이다.
PIR은 소득과 비교한 주택 가격을 보여주기 때문에 흔히 체감 집값 지표로 활용,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가 가격 상위 20% 주택을 지출 없이 살 수 있는 기간(PIR)은 14.6년이었다.
결국 고소득층 가구와 저소득층 가구의 PIR 차이는 6.4년이었다.
이는 같은 달 기준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가장 크다.
같은 분위의 주택가격을 기준으로 한 1·5분위 가구 간 PIR 격차는 2008년 12월 5.2를 기록한 뒤 꾸준히 내림세를 유지해 2017년 12월에는 2.0까지 하락했다.
하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높은 집값 상승세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분배 악화까지 심화하면서 분위별 PIR 격차는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벌어졌다.
그만큼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 집값이 최근 들어 고소득층에 비교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서울에 사는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체감 집값이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KB 주택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연 소득(명목) 하위 20%인 1분위 가구(2인이상·도시가구)의 서울 주택 가격(KB시세) 1분위 기준 소득 대비 주택가격(PIR)은 21.0로 나타났다.
이는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 가구가 소득 수준과 비슷한 하위 20% 가격의 주택을 사려면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21년간 모아야 한다는 뜻이다.
PIR은 소득과 비교한 주택 가격을 보여주기 때문에 흔히 체감 집값 지표로 활용,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가 가격 상위 20% 주택을 지출 없이 살 수 있는 기간(PIR)은 14.6년이었다.
결국 고소득층 가구와 저소득층 가구의 PIR 차이는 6.4년이었다.
이는 같은 달 기준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가장 크다.
같은 분위의 주택가격을 기준으로 한 1·5분위 가구 간 PIR 격차는 2008년 12월 5.2를 기록한 뒤 꾸준히 내림세를 유지해 2017년 12월에는 2.0까지 하락했다.
하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높은 집값 상승세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분배 악화까지 심화하면서 분위별 PIR 격차는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벌어졌다.
그만큼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 집값이 최근 들어 고소득층에 비교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
[표] 지난해 12월 기준 주택가격·가구 소득 분위별 PIR
가구 연 소득 | ||||||
1분위 | 2분위 | 3분위 | 4분위 | 5분위 | ||
평균 주택 가격 | 1분위 2분위 | 21.0 35.1 | 9.5 15.8 | 6.4 10.7 | 4.7 7.9 | 2.8 4.7 |
3분위 | 46.9 | 21.1 | 14.3 | 10.6 | 6.3 | |
4분위 | 63.2 | 28.4 | 19.4 | 14.3 | 8.5 | |
5분위 | 109.3 | 49.2 | 33.4 | 24.6 | 1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