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에는 차별을 묘사한 장면들이 쏟아진다. 가장 황당했던 것이 화장실을 분리한 것인데, 흑인 가정부가 집 안 화장실을 사용하는 게 불쾌하다며 별도의 화장실을 만들었다. 그야말로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우스꽝스러운 장면이다.
영화를 보는 지금이야 그때 그 시절의 차별이 도무지 납득가지 않는 옛이야기라 여길 테지만 이런 식의 차별이 지금은 없을까.
오랜만에 하늘이 맑았던 주말, 수원화성 나들이에 나섰다. 5살 딸 아이는 추운 날씨에도 하늘 높이 연을 날리며 즐거워했다.
때마침 불을 밝힌 화성 야경을 보며 운치 있게 차 한잔 하려 카페를 찾았는데, 그 많은 카페 중에 우리가 앉을 곳은 없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5살 아이가 들어갈 수 있는 곳이 없었다. 담합이라도 한 듯 화성을 마주한 거리의 카페 입구마다 '노키즈 존' 혹은 '어린이 출입금지'가 적혀 있었다.
노키즈존 논란이 어제오늘 일은 아니다. 일각에서는 '오죽하면 그랬겠느냐'며 부모를 타박한다. 일부 타박받을만한 부모들도 없진 않으니, 가게마다 그마다 사정이 있었으리라 이해해본다.
그럼에도 변하지 않는 건, 영문도 모른 채 출입조차 거부당한 아이들에게 노키즈존은 어른들이 행하는 명백한 '폭력'이란 사실이다. 또 음주를 심신미약으로 이해하는 어른들의 느슨한 사회의식 속에서 유독 아이에게만 가혹하게 적용되는 어른들의 처벌(?)은 '나이'를 무기로 삼았다고밖에 해석할 도리가 없다.
꼭 한마디 덧붙이자면, 수원화성은 모두의 유산이다. 결코 일부 세대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공지영 사회부 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