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요금을 잘 낸 주부와 사회초년생 등 금융소외계층이 은행 대출을 받기가 쉬워진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하반기부터 국민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이 통신정보 등 비금융정보를 활용해 금융소비자의 신용등급을 재평가한다고 2일 밝혔다.

은행의 현행 신용평가시스템은 여·수신·카드 실적과 연체 이력 등 금융정보를 중심으로 작동된다.

이 과정에서 최근 2년 내 신용카드 사용 이력 및 3년 내 대출 경험이 없는 사회초년생·주부·고령층 등 1천300만명이 금융이력부족자(Thin filer)로 분류돼 낮은 신용등급을 받아 왔다. 저신용자는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수 없어 고금리를 부과하는 제2금융권으로 갈 수밖에 없다.

금감원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신용평가 때 통신요금(가입 및 할부 등), 휴대폰 소액결제, 온라인쇼핑 거래내역 등 비금융정보의 활용 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다.

이처럼 제도를 변경하면 기존에 대출이 거절됐던 7∼8 신용등급자 71만명 중 약 20만명이 앞으로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비금융정보는 신용 재평가 과정에서 활용된다.

일반적인 신용평가를 토대로 은행의 여신심사를 받은 후 대출이 거절된 고객에 한해 금융이력부족자인지를 판별한다. 이력부족자인 경우 이들의 비금융정보를 활용해 신용등급을 재평가 한후 다시 대출 가능 여부를 심사하는 것이다.

금감원은 이런 재평가절차를 여신심사 단계로 흡수해 단순히 대출 승인뿐 아니라 금리나 한도 등에도 영향을 미치도록 할 예정이다.

국민과 신한 등 5대 은행을 제외한 여타 은행에선 2020년부터 새로운 시스템을 적용할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비금융정보 전문 신용조회회사(CB)를 도입하고 머신러닝 등 빅데이터 기반의 최신 방법론을 활용한 신용평가모형의 구축하는 등 중장기 대응 방안도 추진 중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