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일자리재단 단계적 은퇴지원을
신중년의 위기가 새로운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지만, 이를 현명하게 대처한다면 성장통에 불과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신중년을 맞이한 5060세대들이 '조기취업형', '훈련중심형', '창업·창직형', '사회공헌형' 가운데 자신이 속한 유형이 어떤 것인지 정확하게 아는 것이 돌파구를 찾는 시작이라는 것이다.
실제 안양에 거주하는 신중년 이모 씨는 자신의 경력을 그대로 유지하는 대신, 사회적 수요와 자신의 강점을 살리는 방향으로 활로를 찾았다.
결혼과 육아로 경력이 단절된 이후 남는 시간에 아이들을 가르치는 일을 해왔던 이씨는 지난해 경기도일자리재단의 재취업지원사업을 통해 스마트폰 활용 강사로 변신했다.
노인 인구 증가로 노인 관련 비즈니스가 성장하고 있다는 재단의 상담에 따라 방향을 찾은 것이다.
시흥시에 거주하는 박모씨의 경우는 교육을 받아 재취업에 성공한 사례. 재단은 반월·시화공단 소규모 회사들은 총무업무와 경리업무를 겸하는 곳이 많다는 사실에 주목, 박 씨에게 경리업무를 제안했다.
빠른 취업을 원하는 박씨에게 재단은 2주간의 '경리캐드사무원 양성과정'을 추천했고, 늦깎이 신입사원이 될 수 있었다.
이처럼 중장년 퇴직자들에게도 프리랜서는 물론 기업에도 문이 열려있다. 그러나 재취업을 모색함에도 불구하고 정작 경력에 대한 이해 부족은 물론 경력으로 재취업할 수 있는 직종 정보도 제한돼있는 것도 사실이다.
신중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일자리재단이 진행하고 있는 중장년 구직자 관련 정보의 수집·제공이 주목을 받는 이유다.
재단은 신중년이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 후 새로운 20년을 달릴 수 있도록 채용수요가 많은 직종의 현장실습 중심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확대할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도일자리재단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경기대학교 직업학과 강순희 교수는 "주된 일자리에서 오래 머무를 수 있도록 재고용 지원과 재교육 및 향상교육훈련 등 능력개발지원 등과 함께 노동시장에서의 단계적 은퇴를 지원해야 한다"며 "재직 중에 은퇴를 준비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개인 맞춤형 컨설팅, 전직훈련지원 등에 대한 지원방향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재단이 중앙정부의 정책이 놓칠 수 있는 세부적인 사업과 중앙정부와 동일사업을 하더라도 보완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감도 높은 사업을 진행한다면 신중년의 위기를 타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