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를 접목해 침체한 도심 기능을 활성화하는 '문화적 도시재생 사업' 사업지로 남양주시 등 19곳의 지자체가 선정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전국 기초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2019 문화적 도시재생 사업' 공모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선정 지역은 남양주시 외에 동두천시, 하남시, 강원 강릉시, 인천 서구, 춘천시, 태백시, 충남 천안시, 전북 전주시, 경북 구미시, 포항시, 경남 밀양시, 대구 달성군, 서울 영등포구, 부산 중구와 영도구, 광주 남구, 광주 동구, 대전 대덕구다.

선정된 문화적 도시재생 사업지에는 1곳당 3억원 내외의 국비를 지원(지방비 별도)하고, 사업 전 과정에 걸쳐 관련 전문가의 맞춤형 컨설팅과 대상지역 간 교류 기회를 제공한다.

문화적 도시재생 사업은 도시 내 쇠퇴지역에서 공공 이용이 가능한 장소를 문화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무분별한 재개발에 따른 부작용을 예방하고 도시의 역사와 문화를 바탕으로 도심과 공동체를 활성화하기 위해 지난해 도입했다.

남양주시의 '마석우리 문화공작소'와 하남시의 '잠깐 노는 학교'는 주민참여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인천 서구는 옛 화학 공장을 문화공간으로 탈바꿈된 '코스모40'이 운영된다.

/조영상기자 donal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