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국공립 어린이집 7.2% '좁은문'
특별활동 안한다니 '소외' 취지 발언
"우리 아이만 늦게간다" 핀잔까지
부모들 '울며겨자먹기식' 자식 보내
어린이집이라고 다를까.
성남에 사는 김모(33)씨는 자녀 둘을 키우는 워킹맘이다.
그는 회사가 주는 위탁보육료 형태의 수당을 보육료로 결제하도록 어린이집에 요청했지만 서류상 절차가 복잡하다는 핑계로 거절당했다. 김씨는 "횡포라고 느꼈지만, 혹시 아이에게 불이익이 갈까 따지지도 못했다"고 말했다.
횡포를 일삼는 유아기관을 피하고 싶지만 부모에게 제공되는 기관의 정보는 '깜깜이'다. 정부가 운영하는 '유치원 알리미', '아이사랑' 등 정보공시사이트는 피상적인 수치뿐이다.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이 조사한 '경기도어린이집 이용부모의 양육현황 및 요구조사'를 보면 응답자의 42.3%가 어린이집 원장 및 교사의 자질과 전문성을 기관 선택의 가장 중요한 척도로 여기지만, 실제 정보에는 이런 류의 내용이 거의 없다. 이 때문에 부모들은 민간 유아기관을 선택하는 것 조차 제한된다고 꼬집는다.
특히 국공립은 차치하고 민간 유아기관조차 인원이 비어있는 곳을 찾아 당장 입학해야 하는게 현실이다. 수원, 화성, 용인 등 도내 유아가 밀집한 대도시는 더욱 그렇다.
이번 설문조사에서도 이같은 불만이 쏟아졌다. 화성 남양에서 5살 자녀를 키우는 A씨는 "민간 어린이집이나 유치원마저 숫자가 너무 적어 4살까지 '대기번호'만 받고 아무 곳도 보내지 못했다"고 토로했다.
그렇다면 지역 특성을 반영한 수요조사를 통해 국공립기관을 확충하는 등의 방안을 고심해야하지만, 그동안 경기도와 지자체들은 민간기관이 세를 과시하는 대도시는 포기하고, 농촌지역에 국공립을 설립해 '숫자 채우기'에만 급급했다.
실제로 지난해 기준, 도내 어린이집중에 국공립의 비중은 7.2%로 나타났으며, 국공립 어린이집 평균 설치율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도시형과 도농복합형은 각각 5.8%, 6.2% 인데 반해, 농촌형은 16.8%였고 유아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경우도 허다했다.
민간의 의존도가 유독 심한 상황에서 부모들에게 돌아오는 것은 '갑질'이다. 설문조사에서도 부모들은 '보육시간 미준수'를 하소연했다.
가평에 사는 B씨는 "어린이집 문 앞에 '일찍 맡기고 늦게 데려가도 좋다'고 적혔는데 실제론 우리 아이만 늦게 간다는 식으로 핀잔을 준다. 현장학습을 하면 무조건 일찍 하원하고, 날마다 쉬기를 반복해 회사 다니기 눈치 보인다"고 하소연했다.
유치원은 더 심하다. 용인의 유치원 학부모 C씨는 "종일 돌봄반을 신청했지만 정규 수업시간이 끝나면 프로그램이 거의 없고 대부분 낮잠을 재운다. 또 4시가 지나면 우리 아이만 남았다는 식으로 연락해 결국 하원도우미를 고용했다"고 토로했다.
또 값비싼 추가교육비도 문제다. 화성 동탄의 D씨는 "유치원끼리 담합해 추가원비를 책정하고 동의서도 받지 않고 특별활동비를 일괄적용했다. 안하겠다고 했더니 원장이 아이를 소외시키겠다는 취지의 말을 해 울며 겨자먹기로 돈을 냈다"고 말했다.
실제로 경기도 부모들은 민간어린이집의 경우 평균 10만~15만원을, 사립 유치원은 30만~40만원을 추가 지불한다는 것이 도가족여성연구원의 조사 결과다.
/공지영·이원근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