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 활용 연구보고서 발표
문화 다양성·맛집 만족도 높아
도시재생 효과 정책 필요 목소리
많은 사람들이 모여 활기를 띠는 핫플레이스(Hot Place)를 도시재생 및 지역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도구로 활용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8일 수도권 내 주요 핫플레이스들을 대상으로 토지이용, 임대료 및 공실률, 통행량 등의 변화를 통해 핫플레이스의 생성과 쇠퇴 원인을 분석하고 핫플레이스 활용방안을 제안한 '핫플레이스의 생성조건 및 쇠퇴 및 이동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북촌과 서촌, 압구정 로데오거리, 가로수길, 성수동, 홍대거리, 연남동, 신촌, 이태원거리, 경리단길, 해방촌, 일산 라페스타, 수원 나혜석거리 등 수도권의 주요 핫플레이스 13곳의 방문자 7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0.1%는 자신이 방문한 핫플레이스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핫플레이스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큰 항목으로는 '다른 장소에서 볼 수 없는 문화적 다양성'이 20.1%, '개성 있고 맛있는 음식점(맛집)'이 18.3%로 상위권을 차지했다.
반면 만족도가 가장 낮은 항목으로는 '클럽, 야외공연, 전시 등 차별적인 문화코드(15.8%)', '대형 프랜차이즈 의류숍, 브랜드 커피숍(15.6%)' 등이 꼽혔다.
핫플레이스가 인기를 얻으면 지가와 임대료가 상승하면서 최초에 모여들었던 창작가들이 이를 감당하지 못해 빠져나가고, 그 자리를 대형 프랜차이즈가 대체하면서 핫플레이스가 지녔던 본래의 정체성은 사라지게 된다.
김태경 연구위원은 "낙후되고 침체된 지역에 사람들이 많이 찾아와 활기를 띤다는 것은 도시재생 및 지역활성화 측면에서 장려할 만한 일이다"라며 "오히려 핫플레이스를 정책의 일환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조영상기자 donald@kyeongin.com
핫플레이스가 지역 활성화 '묘약'
입력 2019-04-08 22:24
수정 2019-04-08 22:24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04-09 4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