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에도 기자는 기사가 나간 이후인 주말에도 내내 지역화폐인 '수원페이'를 사용했다. 지역화폐로 음식점에서 저녁식사를 했고, 커피 몇 잔을 사 마시기도 했다.
카드단말기에서 영수증이 출력되고 나서야 '아, 이곳에선 지역화폐를 쓸 수 있구나'라고 알 수 있는 게 흠이라면 흠이었지만, 장점도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10만원을 충전하니 6%에 해당하는 6천원을 서비스로 받았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개인정보를 등록하니 지역화폐 결제 금액에 대해선 소득공제 30%도 받을 수 있었다.
이재명 도지사의 말처럼 '몰라서 못 쓰지, 알면 굳이 안 쓸 이유가 없다'는 얘기다. 위기에 처한 골목상권을 살리는 데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뿌듯함은 덤일 터.
다만 장점과 당위성만으로 소비자가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경인일보 본사가 소재한 수원의 지역화폐를 발급 신청한 탓에 '수원페이' 실사용기를 지면에 담았지만, 비단 수원페이만의 일일까. 지역화폐가 빛 좋은 개살구가 아닌, 많은 도민들의 생활 속에 자리 잡는 '인싸머니'로 거듭나려면 소소한 불편함일지라도 최대한 덜어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일례로 기사에는 미처 담지 못했지만 도내 시·군 중 일부는 지역화폐와 연동된 모바일 앱을 다르게 쓰고 있다. 수원에서 김포로 출·퇴근하는 직장인이 두 지역 모두에서 지역화폐를 쓰고 싶으면 앱 두 개를 설치해야 하는 것이다. 어디에서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알리는 일 역시 중요한 과제다. 진통 끝에 탄생한 지역화폐가 제대로 빛을 발하게 하려면 경기도와 시·군이 계속 머리를 맞대야 한다.
/강기정 정치부 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