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지난해 부동산 급등 대책으로 내놓은 '수도권 30만가구 주택 공급' 계획이 7일 고양시 창릉동, 부천사 대장동 2개 신도시 발표와 함께 전체 윤곽을 드러냈다.
정부는 지난해 9월 주택시장이 달아오르자 수도권 택지에 30만 가구를 공급한다는 내용의 계획을 발표했다. 9월 1차(3만5천 가구)에 이어 12월 2차(15만5천 가구) 발표까지 지난해 모두 19만 가구의 주택 공급 계획이 공개됐고, 이날 3차 택지 발표를 통해 마침내 나머지 11만가구의 위치 등이 확정됐다.
수도권 주택 공급 계획의 핵심인 1만 가구 이상 규모의 '3기 신도시' 입지는 남양주 왕숙(6만6천 가구), 하남 교산(3만2천 가구), 인천 계양 테크노밸리(1만7천 가구)에 이어 이번에 고양 덕양구 창릉(3만8천 가구), 부천시 대장동(2만 가구)까지 더해지면서 모두 5곳으로 늘었다.
정부는 지난해 9월 주택시장이 달아오르자 수도권 택지에 30만 가구를 공급한다는 내용의 계획을 발표했다. 9월 1차(3만5천 가구)에 이어 12월 2차(15만5천 가구) 발표까지 지난해 모두 19만 가구의 주택 공급 계획이 공개됐고, 이날 3차 택지 발표를 통해 마침내 나머지 11만가구의 위치 등이 확정됐다.
수도권 주택 공급 계획의 핵심인 1만 가구 이상 규모의 '3기 신도시' 입지는 남양주 왕숙(6만6천 가구), 하남 교산(3만2천 가구), 인천 계양 테크노밸리(1만7천 가구)에 이어 이번에 고양 덕양구 창릉(3만8천 가구), 부천시 대장동(2만 가구)까지 더해지면서 모두 5곳으로 늘었다.

특히 이번 3차 택지 계획에는 대규모 신도시뿐 아니라 서울의 '자투리 땅'(중소규모 택지) 19곳을 포함해 경기·인천 등까지 모두 81곳의 중소규모 택지 개발 내용도 포함됐다.
예를 들어 사당역 복합환승센터(1천200가구), 창동역 복합환승센터 및 창업·문화산업단지(500가구) 등 서울 지하철역 중심의 복합 개발을 통해 주택을 공급한다.
성남 공영주차장(300가구), 마곡 R&D센터 주차장 부지(200가구), 서울 중랑구 망우동 공영주차장(1천500가구)도 택지로 활용되고, 서울 대방동 노후 군부지(1천가구)와 관악구 군 관사 2곳(1천200호), 심지어 사당4동 주민센터까지 택지로 동원된다.
이런 중소규모 택지는 2020년부터 입주자를 모집(분양)하고, 신도시의 경우 2020년 지구 지정과 2021년 지구 계획 등을 거쳐 2022년부터 분양에 들어갈 예정이다.
수도권 주택 30만 가구의 분양 일정을 연도별로 보면 ▲ 2022년까지 7만가구 ▲ 2023년 6만7천가구 ▲ 2024년 5만8천가구 ▲ 2025년 6만1천가구 ▲ 2026년 이후 4만4천가구 등이다.
아울러 정부는 이날 발표된 신도시 등 신규 택지에 대한 투기를 막기 위해 대규모 공공택지와 주변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고, 개발 예정지와 인근 지역의 집·토지 가격과 거래량을 살펴 투기가 우려되면 관계기관 '합동 투기 단속반'도 운영할 방침이다.
/양형종기자 yang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