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금 조정문제를 놓고 사용자 측과 협상을 벌이고 있는 경기도 15개 버스업체 노조가 파업 여부를 9일 최종 결정한다.
파업이 결정될 경우 오는 15일부터 광역버스 580여 대가 운행을 멈출 예정이어서 시민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경기자동차노조)은 이날 오전부터 노조원 1천300여 명을 대상으로 파업 찬반투표를 진행한다고 8일 밝혔다. 결과는 9일 오후 확정될 전망이다.
찬반투표 대상은 양주, 용인, 하남, 구리, 남양주, 포천, 가평, 파주, 광주, 의정부, 의왕, 과천, 군포, 안양 등 14개 시·군을 경유하는 15개 버스업체 소속 노조원들이다.
이들은 도가 지난해 4월부터 시행 중인 '버스 준공영제'에 참여 중인 업체들로, 지난달 최종 노사 협상이 결렬됨에 따라 파업 찬반투표가 결정됐다.
준공영제에 참가하지 않는 수원, 성남, 고양, 화성, 안산, 부천 등의 업체 소속 광역버스는 파업 여부와 관계없이 정상 운행한다.
앞서 노조 측은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에 따른 추가 인력 채용과 310여만원 수준인 기사 임금을 서울 수준인 390여만원으로 인상하는 안을 요구했지만, 사측이 인건비 부담을 호소해 받아들여 지지 않았다.
/양형종기자 yanghj@kyeongin.com
파업이 결정될 경우 오는 15일부터 광역버스 580여 대가 운행을 멈출 예정이어서 시민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경기자동차노조)은 이날 오전부터 노조원 1천300여 명을 대상으로 파업 찬반투표를 진행한다고 8일 밝혔다. 결과는 9일 오후 확정될 전망이다.
찬반투표 대상은 양주, 용인, 하남, 구리, 남양주, 포천, 가평, 파주, 광주, 의정부, 의왕, 과천, 군포, 안양 등 14개 시·군을 경유하는 15개 버스업체 소속 노조원들이다.
이들은 도가 지난해 4월부터 시행 중인 '버스 준공영제'에 참여 중인 업체들로, 지난달 최종 노사 협상이 결렬됨에 따라 파업 찬반투표가 결정됐다.
준공영제에 참가하지 않는 수원, 성남, 고양, 화성, 안산, 부천 등의 업체 소속 광역버스는 파업 여부와 관계없이 정상 운행한다.
앞서 노조 측은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에 따른 추가 인력 채용과 310여만원 수준인 기사 임금을 서울 수준인 390여만원으로 인상하는 안을 요구했지만, 사측이 인건비 부담을 호소해 받아들여 지지 않았다.
/양형종기자 yang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