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50901000706300032821.jpg
북한이 지난 4일 동해상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참관 아래 대구경 장거리 방사포와 전술유도무기가 동원된 화력타격훈련을 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5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야외 전시장에 스커드 B 미사일 등 발사체들이 전시돼 있다. 합동참모본부는 처음 북한이 쏜 기종을 '단거리 미사일'로 발표했으나 40여분 만에 '단거리 발사체'로 수정한 바 있다. /연합뉴스

북한은 지난 4일 이뤄진 발사체 발사에 대해 "정상적이며 자위적인 군사훈련"이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외무성 대변인은 8일 중앙통신 기자와 문답에서 발사체 발사에 대해 "전연 및 동부전선 방어부대들의 대구경 장거리방사포, 전술유도무기 운영능력과 화력임무수행 정확성, 무장장비들의 전투적 성능을 판정검열"이라며 "전투동원준비를 빈틈없이 갖추도록 하는데 목적을 둔 화력타격훈련"이라고 규정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훈련을 통하여 언제 어느 시각에 명령이 하달되어도 즉시 전투에 진입할 수 있게 만반의 태세를 갖추고 있는 전연과 동부전선 방어부대들의 신속반응능력이 다시금 확증되었다"고 소개했다.

이는 북측이 발사체 발사 직후 불거진 '미사일 논란'에 대해 나흘 만에 낸 공식입장이다. '방어부대', '경상적', '자체방어적' 등 표현이 사용됐고, 미사일 내지 로켓은 어디에도 언급되지 않았다.

또 이번 훈련이 전연(전방) 및 동부전선 방어부대의 훈련이라고 밝히면서도 미사일을 다루는 전략군은 언급하지 않았다.

대변인은 거듭 "그 누구를 겨냥한 것이 아닌 정상적인 군사훈련의 일환으로서 지역정세를 격화시킨 것도 없다"면서 "어느 나라나 국가방위를 위한 군사훈련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일로서 일부 나라들이 다른 주권국가를 겨냥하여 진행하는 전쟁연습과는 명백히 구별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남쪽에서 한미 합동으로 치러진 '동맹 19-1'훈련과 공중훈련 등을 거론하며 이번 발사체 발사가 남쪽에서 치러진 훈련에 대한 대응조치임을 시사했다.

외무성 대변인은 최근의 한미 합동훈련 전개 상황을 언급하며 "어떤 이유에서인지 이런 도발적 군사훈련과 전쟁연습에 대해서는 누구도 일언반구 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의 정상적이며 자체방어적인 군사훈련에 대해서만 도발이라고 걸고 드는 것은 점차적으로 우리 국가의 무장해제까지 압박하고 종당에는 우리를 먹자고 접어드는 기도를 노골적으로 표출시킨 것"이라며 "일부 세력들이 그 누구의 충동을 받아 우리를 무턱대고 걸고 들면서 우리의 자주권, 자위권을 부정하려 든다면 우리도 그들도 원치 않는 방향으로 우리를 떠미는 후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 답보상태에 빠진 북핵협상 상황에 대해 외무성 대변인은 "지금까지 조선반도(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중대한 전략적 결단을 요구하는 조치들을 주동적으로 취한데 대해 응당한 상응조치들이 취해지지 않아"서라고 원인을 진단하며 "우리가 최대한 인내심을 발휘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7일 통화를 하고 북한이 발사체 발사에도 비핵화를 위한 대화 궤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면서, 가능한 조기에 비핵화 협상을 재개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한미 정보 당국도 북한의 발사 이후 정보를 공유하며 발사체의 제원을 함께 분석했고, 이 과정에서 해당 발사체를 '미사일'로 단정 짓거나 북한을 비난하는 일 등은 자제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