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버스요금인상 카드를 제시하면서 버스업체의 파업은 유보됐지만, 뇌관인 '임금인상'과 '인원충원'은 여전한 상황이다.

15일 경기지역 준공영제 참여 버스 15개 업체는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서 2차 특별조정회의를 갖고 조정기간을 연장하기로 했다.

이들은 "버스노동자들의 노동조건 개선에 대한 입장변화가 없을 경우 6월 말로 임금협정이 만료되는 나머지 도 버스노동자들의 투쟁대열에 합류하겠다"며 파업 철회가 아닌 파업 유보 결정임을 강조했다.

도의 버스요금 인상 결정으로 임금인상의 가능성이 열린 것은 사실이지만, 월 70만원이나 격차가 나는 서울지역 버스기사 임금 수준에 맞춰야 한다는 노조의 요구에 사측이 어떤 대답을 내놓을지에 따라 파업 여부가 달려있다.

버스요금은 물가상승과 유류값 등에 따라 인상돼 왔는데, 4년 만에 단행된 이번 요금 인상분이 모두 인건비로 이어지지는 않을 수 있어 오는 28일 3차 조정까지 노사가 어떤 결론을 낼지 관심이 집중된다.

따라서 이번에 유보된 파업이 다음달 예정된 36개 업체의 임단협과 맞물려 노사갈등이 더욱 첨예하게 전개될 가능성이 짙은 상태다.

임금 인상 외에도 주 52시간 근무제 전면 시행에 따른 대규모 인력충원 문제도 시급히 풀어야 할 문제다.

도는 7월 전까지 버스업체가 추가 채용할 수 있는 최대 인원을 1천여명으로 보고 있지만, 이는 필요한 인력의 절반도 못미치는 수준이어서 폐선이나 감차 등 대규모 노선 조정도 불가피하다.

도는 주 52시간 근무제가 도입되면 전체 2천185개 노선 중 1천19개(46.6%) 노선의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경기도 버스를 이용하는 주민들 입장에서는 대규모 감차와 폐차로 열악해진 버스를 인상된 요금을 내면서 이용해야 하는 불편을 겪어야 하는 상황이다.

버스노조 관계자는 "서울지역과 큰 격차가 있는 경기지역 근로자들의 임금 현실화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라며 "그런 와중에 요금 인상이 됐기 때문에 이제 모든 공은 사측으로 넘겨졌다. 사측은 책임감 있는 자세로 파업이 안되도록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