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51801001535300074661.jpg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오전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제39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9주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독재자의 후예가 아니라면 5·18을 다르게 볼 수 없다"며 
이른바 '5·18 망언' 등을 겨냥한 작심 비판을 내놨다.

문 대통령은 이날 기념사에서 "40주년인 내년에 참석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저는 올해 꼭 참석하고 싶었다. 광주 시민들께 너무나 미안하고, 너무나 부끄러웠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아직도 5·18을 부정하고 모욕하는 망언들이 거리낌 없이 큰 목소리로 외쳐지는 현실이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너무나 부끄럽다"고 거듭 밝혔다.

문 대통령이 구체적 사례를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정치권에서는 자유한국당 의원의 '5·18 망언' 등을 염두에 둔 발언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문 대통령은 망언 논란이 불거진 직후인 지난 2월 18일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 회의에서도 해당 의원들의 발언에 대해 "우리 민주화 역사와 헌법 정신을 부정하는 것"이라며 "결국 민주주의를 훼손하고 나라의 근간을 무너뜨리는 일"이라고 성토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의 이날 기념사에는 '5·18 망언'에 대한 강력한 비판 외에도 정치권의 환골탈태를 요구하는 언급이 다수 포함됐다.

문 대통령은 "아직 규명되지 못한 진실을 밝히는 것, 비극의 오월을 희망의 오월로 바꾸는 것이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이라며 "당연히 정치권도 동참해야 할 일"이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지금 새로운 대한민국으로 가고 있다"며 "5·18 이전, 유신 시대와 5공 시대에 머무르는 지체된 정치의식으로는 단 한 발자국도 새로운 시대로 갈 수 없다"고 힘줘 말했다.

문 대통령은 구체적으로는 진상조사규명위원회 설치를 국회 및 정치권의 과제로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국회와 정치권이 더 큰 책임감을 갖고 노력해달라"라고 촉구했다.

지난해 3월 발의한 정부 개헌안이 국회에서 처리되지 못한 것에 대해 언급한 점도 눈길을 끌었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개인적으로 헌법 전문에 5·18 정신을 담겠다고 한 약속을 지금까지 지키지 못하는 것이 송구스럽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