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가 어제 새 정책위의장과 사무총장에 초선 비례대표인 채이배·임재훈 의원을, 수석대변인에는 최도자 의원을 임명했다. 바른미래당은 사실상 정상적인 당의 모습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내홍을 겪어 왔다. 하태경·권은희·이준석 최고위원의 당무거부로 지도부가 해체될 위기를 겪다가 오신환 신임 원내대표 선출 이후 표면적으로나마 소강상태를 보이는 듯했다. 그러나 손 대표의 새 당직 임명으로 바른정당계와 오신환 원내대표의 반발 등 당내 갈등이 더욱 증폭될 전망이다.

탄핵에 반대하여 자유한국당을 탈당한 바른정당계와 국민의당 출신 의원들이 연합하여 창당한 바른미래당은 이념성향과 정치적 배경의 차이로 출발부터 화학적 결합이 쉽지 않은 구조적 요인을 안고 출범했다. 유승민·안철수 전 대표가 각자의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당을 만들었으나, 국민의당 출신도 안철수계와 호남계 의원들로 분화되어 있는 상태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난해 지방선거 참패와 지난 4월 재·보궐 선거의 패배, 당 지지율의 정체 및 하락은 손 대표 취임 이후에도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자, 당내 갈등이 폭발한 것이 바른미래당 사태의 본질이다.

현재와 같은 상태로 특단의 대책이나 상황 변화가 없는 한 내년 총선에서 제3당으로서 존재감을 드러내기 어렵다. 바른정당계는 오신환 원내대표 취임 이전부터 패스트트랙 반대 등 자유한국당에 친화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으나 손 대표를 중심으로 한 당권파는 범여권과 같은 행보를 보이면서 갈등의 골은 깊어졌다.

정당이 계파간의 건강한 긴장과 균형으로 당의 역동성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바른미래당은 단순한 계파갈등의 차원을 넘어서고 있다. 바른정당계가 보여주고 있는 당 대표 퇴진 운동 방식도 수적 우위와 정치적 금도를 벗어난 강압적인 태도는 없는지 되돌아봐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는 손 대표가 물러서고 싶어도 물러설 수 없을 것이다.

왜 손 대표가 물러나야 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논리와 합당한 이유를 제시함으로써 퇴진 명분과 모양을 갖추는 게 정치도의다. 당 대표는 전 당원의 투표에 의해 선출된 자리다. 퇴진을 요구한다고 나갈 수 있는 자리가 아니다. 총선과 맞물린 정계개편은 외부의 여러 변수와 맞아 떨어질 때 가능한 것이다. 당권파와 바른정당계는 서로 숨을 고르고 제3당의 위상을 찾는 데 진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