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민선7기 일자리정책 로드맵'을 발표한 것은 박남춘 시장 취임 반년 만인 지난해 12월이었다. 임기인 2022년까지 55만2천개의 일자리를 만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앞서 시 조직개편도 단행했다. 기존의 일자리경제국과 투자유치산업국을 통합한 일자리경제본부를 신설했다. 2급 본부장 아래에는 국장급인 3급 기획관을 두는 체제를 만들었다. 일자리에 시의 역량을 최대한 집중시킨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졌다. 민관 구분 없이 인천지역의 일자리 창출 역량과 지원 태세를 총망라하는 차원에서 올해 대규모의 시장직속 일자리위원회도 출범시켰다.

하지만 현실은 여전히 산발적이고 파편적이다. 현재 인천지역에서 일자리 관련 정책을 수행하는 기관은 인천시와 10개 군·구, 고용노동부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중소벤처기업부 인천지방중소벤처기업청 등 지자체와 중앙부처 소속기관 및 산하기관 등으로 저마다 나뉘어져 있다. 시 산하기관으로 취업과 창업 지원활동을 펴고 있는 조직도 여성새로일하기센터, 노인인력개발센터 등 60여 개에 달한다. 기관 간 업무와 예산의 중복, 정책의 통일성 결여, 업무의 전문성 약화 등 각종 문제점이 불거져 나올 수밖에 없는 구조다.

대안으로 인천시가 경기도일자리재단과 유사한 '일자리 컨트롤타워'의 설립을 구상하고 있다. 경기도일자리재단은 일자리 70만개 창출을 공약으로 내세웠던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가 취임 1년 반 만인 2016년 9월에 설립했다. 기존의 경기일자리센터와 기술학교, 여성능력개발센터, 북부여성비전센터 등 경기도의 4개 일자리 관련 기관을 통·폐합해 출범한 일자리 관련업무의 총괄 수행기구다. 올해 예산이 1천236억원인데 이 중 953억원은 경기도 내 각 기관이 추진하던 각종 일자리 사업을 위탁받아 추진하는 예산이다.

인천시가 구상중인 일자리재단은 시와 군·구, 산하 공공기관 별로 각개전투식으로 전개되고 있는 일자리 관련 정책을 협력적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거버넌스'를 구축한다는 의미에서 일단 긍정적이다. 재단을 통해 흩어져 있는 관련 업무를 한곳으로 모으고, 재단 내에 일자리 정책을 개발하는 전문연구센터 등을 함께 설치해 정책대안 제시 기능까지 하도록 한다면 효율적일 것이다. 단 다른 공공기관들의 전철을 밟아 재단이 퇴직공무원들을 위한 일자리 연장의 수단이 되거나 '낙하산부대'의 집결소가 되는 일은 어떤 경우에도 없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