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수원지역에서 시내버스 70여 대를 운영하는 남양여객 노조가 사측과의 임금협상 끝에 파업하기로 했다.
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과 남양여객 노조는 오는 23일 첫차부터 시내버스 78대의 운행을 전면 중단한다고 22일 밝혔다.
앞서 노조는 지난 한 달 동안 사측과 임금인상분을 놓고 협상을 벌였으나 최종 결렬돼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을 냈다.
이어 지난 3∼4일 파업 찬반투표를 벌여 재적조합원 140명 중 126명(90%)의 찬성으로 파업을 결의했다.
노조 관계자는 "남양여객 기사들은 다른 수원 버스회사들과 똑같은 시간과 근로 환경에서 일하고 있지만 월 급여가 30만∼40만원 적다"며 "현재 최저시급인 8천350원을 받고 있지만 이마저 올해부터 사측이 법정 최저임금을 맞추기 위해 인상한 것으로, 지난해 시급은 7천914원에 불과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남양여객은 수원 연무동과 반월 산업단지를 오가는 11번 버스, 마찬가지로 연무동과 화성 비봉면을 오가는 50-2번 버스 등 8개 노선 78대의 버스를 운행하는 중소 버스업체로, 최근 갈등이 봉합된 준공영제 광역버스 업체와는 무관하다.
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과 남양여객 노조는 오는 23일 첫차부터 시내버스 78대의 운행을 전면 중단한다고 22일 밝혔다.
앞서 노조는 지난 한 달 동안 사측과 임금인상분을 놓고 협상을 벌였으나 최종 결렬돼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을 냈다.
이어 지난 3∼4일 파업 찬반투표를 벌여 재적조합원 140명 중 126명(90%)의 찬성으로 파업을 결의했다.
노조 관계자는 "남양여객 기사들은 다른 수원 버스회사들과 똑같은 시간과 근로 환경에서 일하고 있지만 월 급여가 30만∼40만원 적다"며 "현재 최저시급인 8천350원을 받고 있지만 이마저 올해부터 사측이 법정 최저임금을 맞추기 위해 인상한 것으로, 지난해 시급은 7천914원에 불과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남양여객은 수원 연무동과 반월 산업단지를 오가는 11번 버스, 마찬가지로 연무동과 화성 비봉면을 오가는 50-2번 버스 등 8개 노선 78대의 버스를 운행하는 중소 버스업체로, 최근 갈등이 봉합된 준공영제 광역버스 업체와는 무관하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