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석 경제부 기자
김준석 경제부 기자
어린이 문화시설이 들어설 용인시민체육공원 바로 옆 '345㎸ 송전탑', 주거단지가 몰린 일부 인천·부천지역 지하 8m 깊이를 지날 '고압 송전선', 반도체공장 전력 공급을 위해 안성·평택지역 일부 마을 인근에 설치될 '송전탑과 송전선로'. 이에 건강·재산권 등이 침해된다며 반발하는 주민들과 이들 요구를 수용하려면 막대한 추가 비용이 든다고 맞서는 기업들.

길게는 5년째 해결되지 않고 있는 고압 송전설비 관련 갈등 사안들이다. 지난 2년간 이를 취재하며 지켜만 본 기자도 '송전탑·송전선로' 단어가 지긋지긋한데, 직접 머리띠 매고 나선 주민들과 중재·해결 방안 찾느라 골머리 앓는 기업·공무원들은 오죽할까.

다행히 정부가 이 같은 갈등과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에너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생산전력을 수요처까지 공급하기 위해선 (갈등을 조장하는)고압 송전설비 건설이 필수인 화력·석탄발전소 등 '집중형'을 줄이고, 태양광·풍력 및 연료전지 등 수요처 인근 소규모 발전이 가능한 '분산형' 발전시설을 늘리겠다는 것이다. 특히 '연료전지'는 송전설비가 필요없는 건 물론 무소음·저공해 등 친환경적이면서 안정적 고효율 발전까지 가능해 차세대 신 에너지원으로 각광받는다.

경기도에선 이미 6년 전부터 국내 최대 연료전지 발전소가 가동되는 등 분산형 발전에 앞장서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이 발전소가 파산 위기를 맞아 오히려 뒤처질 수 있는 상황에 놓였다. 원천기술 보급을 맡은 포스코에너지가 내부 적자 부담을 사실상 발전소에 떠넘기며 터무니없는 재계약 금액을 요구하고 있어서다. 포스코에너지와 계약을 맺은 도내 다른 업체들도 불똥이 튈까 불안에 떨고 있다. 그런데 초기 발전소 건립비 470억원까지 투입한 정부는 정작 수수방관이다. 그러면서도 '2030년 연료전지 세계 시장 점유율 1위'가 정부 목표라는데, 그때도 송전탑 갈등 현장에 취재를 가야 할 것만 같다.

/김준석 경제부 기자 joons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