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가 2주일째를 맞고 있지만 피해와 민원은 오히려 늘어나는 등 시민 불안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인천시 서구의 '붉은 수돗물'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는 환경부는 "수돗물이 사고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현장조사에서 실시한 간이 수질검사에서도 탁도·철·망간·잔류염소 농도가 기준치를 만족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천 서구와 중구 주민들은 여전히 적수가 나온다고 주장하고 있고 적수 피해학교들도 수돗물을 이용한 급식을 재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총 1만건을 넘어선 인천 붉은 수돗물 관련 민원이 8일에는 하루 552건, 9일 199건으로 일시 감소세를 보였으나 10일 1천664건, 11일에도 1천586건으로 다시 늘어나고 있다. 검단지역의 수질도 개선되는 듯하다가 10일부터 검암 지역을 중심으로 다시 나빠졌다는 민원이 들어오고 있다. 2차 피해도 늘고 있다. 12일에는 수돗물 피해로 대체급식을 하던 서구의 한 중학교에서 집단 식중독 증세가 나타나 역학조사에 들어가고, 서구지역의 물놀이장 8곳의 개장도 무기 연기했다.

피해가 확산되고 주민불안이 가중되고 있는데도 원인도 모른단다. 환경부는 공사로 송수관을 변경하면서 수압을 높였고, 수압상승으로 송수관에 침착되어 있던 산화물질들이 비늘처럼 떨어져 발생한 것으로 추정만 내놓고 있다. 정수장에서 배수지를 거치지 않고 바로 수돗물이 공급되는 서구 당하지역, 검암동 일대 빌라에 피해가 큰 사실을 보면 송수관의 문제일 공산이 크다. 정부합동조사반의 원인규명조사도 언제 끝날지 모르니 사태는 해결도 난망한 실정이라 주민들만 고통스럽다.

이번 사태는 인천시의 무책임한 행정이 초래한 것이며, 안이한 대처방식 때문에 주민들의 불신을 키운 것이다. 송수관을 바꾸고 배수지를 거치지 않고 수돗물을 공급할 경우 낡은 송수관 때문에 녹물이 섞여 나올 것은 충분히 예측 가능한 사태였다. 당연히 실험통수를 마친 뒤에 수돗물을 공급했어야 했으며 예고도 했어야 했다. 곳곳에서 붉은 물이 쏟아지는데도 적합판정이 나왔다며 참고 기다리라는 식이다. 조사결과가 나오면 또 노후수도관만 탓할 것인가. 시민들의 생명과 건강이 걸려 있는 수도관 관리는 평소에 뒷전에 미뤄놓고 있으면서 안전도시를 내세우는 건 낯뜨거운 일이다. 물관리 행정에 일대 혁신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