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균 1조원의 사업비가 들어가는 신규 양수발전소 후보 부지로 경기 포천시, 강원 홍천군, 충북 영동군이 최종 선정됐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영동군에 2029년까지 500MW, 홍천군에 2030년까지 600MW, 포천시에 2031년까지 750MW 규모의 양수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1기당 평균 사업비는 1조원가량이며 전액 한수원이 부담한다. 양수발전소 3기를 동시에 짓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수원은 3개 후보 주지에 대한 전략환경영향평가 등 관련 절차를 거쳐 정부에 전원개발산업 예정구역 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지정 고시 후에는 부지별로 실시계획 승인 및 발전사업 허가를 받아 건설에 들어간다.
양수발전소 건설공사가 시작되면 건설과 가동 기간 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소득증대, 사회복지 등을 위한 지원금이 제공된다.
양수발전소는 상부댐으로 물을 올려놓은 후 필요한 시기에 이 물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다. 3분 내로 발전이 가능해 전력 피크 때 수요에 대응하고, 전력계통 안정화 등의 역할을 한다.
현재 청평, 삼랑진, 청송, 산청, 양양, 무주, 예천 등 16기의 양수발전소를 운영 중이다. 총 설비용량은 4천700MW다.
/양형종기자 yanghj@kyeongin.com
한국수력원자력은 영동군에 2029년까지 500MW, 홍천군에 2030년까지 600MW, 포천시에 2031년까지 750MW 규모의 양수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1기당 평균 사업비는 1조원가량이며 전액 한수원이 부담한다. 양수발전소 3기를 동시에 짓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수원은 3개 후보 주지에 대한 전략환경영향평가 등 관련 절차를 거쳐 정부에 전원개발산업 예정구역 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지정 고시 후에는 부지별로 실시계획 승인 및 발전사업 허가를 받아 건설에 들어간다.
양수발전소 건설공사가 시작되면 건설과 가동 기간 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소득증대, 사회복지 등을 위한 지원금이 제공된다.
양수발전소는 상부댐으로 물을 올려놓은 후 필요한 시기에 이 물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다. 3분 내로 발전이 가능해 전력 피크 때 수요에 대응하고, 전력계통 안정화 등의 역할을 한다.
현재 청평, 삼랑진, 청송, 산청, 양양, 무주, 예천 등 16기의 양수발전소를 운영 중이다. 총 설비용량은 4천700MW다.
/양형종기자 yang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