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함유량 3.5%→0.5%로 대폭축소
수요늘어 가격급등 선사 설치 부담


내년부터 시행되는 선박 황산화물 배출 규제에 대비해 안정적인 저유황유 공급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30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발표한 '국제해사기구(IMO) 배출가스 규제 강화에 대비한 국내 해운산업 대응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의 많은 선사는 황산화물 배출 규제에 대비해 저유황유를 도입할 계획이다.

IMO는 내년부터 국제 항해에 나서는 모든 선박을 대상으로 선박 연료에 허용되는 황 함유량을 기존 3.5%에서 0.5%로 대폭 축소하는 황산화물 규제를 시행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해양환경관리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이 최근 국무회의를 통과했다.

황산화물 배출 규제를 지키려면 황 함유량이 낮은 저유황유를 사용하거나 탈황장치(스크러버) 설치 또는 LNG 추진 선박 도입을 추진해야 한다.

KMI가 지난해 10월 한국선주협회를 통해 국내 선사 61개 업체(보유 선박 426척)를 대상으로 IMO 규제 대응 전략을 설문 조사한 결과, 69.4%의 선박은 저유황유 사용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황산화물 배출을 저감하는 장치인 스크러버를 설치하겠다는 응답은 29.1%, LNG 추진 선박 도입은 1.5%에 그쳤다.

국내 대부분 선사가 저유황유 사용을 추진하는 이유는 추가 설비 없이 기존 선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크러버는 초기 설치 비용이 50억~60억원에 달한다.

LNG 추진 선박은 배를 신규 건조해야 하고, 연료 공급망이 아직 충분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국내 해운업계가 저유황유를 도입할 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저유황유의 안정적인 공급에 대한 방안은 마련되지 않았다는 게 KMI의 설명이다. 저유황유 수요 증가로 공급 부족이 발생하면 가격이 급등할 가능성이 높다.

가격 상승으로 뒤늦게 스크러버를 설치하는 선사들은 이중으로 비용을 부담하는 셈이다.

KMI 이호춘 부연구위원은 "국내 해운업계가 저유황유 의존도를 높이면 가격 급등에 따라 선사의 경쟁력이 나빠지고, 자칫 연쇄 도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정부가 저유황유의 안정적 공급 방안 수립은 물론 기술적·정책적 대응 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