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70401000406300018362.jpg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 총파업 이틀째인 4일 오후 부산 한 초등학교에서 한 학생이 대체급식으로 제공된 빵을 먹고 있다. /연합뉴스

학교 비정규직 파업 이틀째인 4일 1만7천여명이 파업에 참여하면서 1천700여개 학교에서 급식이 제대로 제공되지 않았다.

교육부는 4일 1만584개 국공립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를 집계한 결과 비정규직(교육공무직) 직원 15만1천809명 중 11.4%인 1만7천342명이 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파악했다.

전날 조사에서는 1만585개 학교의 15만2천181명 중 14.4%인 2만2천4명이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틀 동안의 파업 참가 연인원은 3만9천346명이 됐다.

급식은 서울 158곳, 경기 525곳 등 전국 1만454개 학교 중 20.8%인 2천177개 학교에서 이뤄지지 않았다.

기말고사 기간이어서 점심 전에 끝나는 학교 406곳을 제외하면 1천771곳에서 파업으로 인해 정상적인 급식이 중단됐다.

빵·우유를 제공한 1천194곳, 도시락을 지참하도록 한 377곳 등을 포함해 총 1천662개 학교가 대체급식을 제공했고, 109곳은 단축수업을 했다.

일부 학교에서는 돌봄교실 운영도 차질을 빚고 있다. 국공립 초등학교 5천980곳 중에 92개 학교(1.5%)에서 돌봄교실 운영이 중단됐다.

2019070401000406300018361.jpg
급식 종사원 등 전국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파업 이틀째인 4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인천시교육청 앞에서 열린 '공공부문 비정규직 파업 결의대회'에서 민주노총 인천본부 소속 조합원들이 비정규직 철폐를 호소하고 있다. /연합뉴스

교육 당국과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는 9~10일 세종시 시도교육감협의회 사무실에서 다음 교섭을 진행할 계획이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전국여성노조 등이 꾸린 연대회의는 현재 일부 직군의 경우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기본급을 6.24% 인상할 것, 근속급·복리후생비 등에서 정규직과의 차별을 해소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60% 수준인 임금 수준을 공무원 최하위 직급의 80%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공정임금제' 시행도 문재인 대통령 공약이었다면서 요구하고 있다.

연대회의는 3∼5일 사흘간 파업을 계속한다.

/양형종기자 yang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