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환경운동연합은 최근 광안리 해수욕장 인근 공중화장실 황화수소 누출 사고와 관련한 8일 논평에서 "관리 주체인 수영구청이 20년 넘게 점검을 하지 않았다"며 "예견된 인재"라고 비판했다.
부산환경운동연합은 "부산시 차원 통합적인 공중화장실 오수정화 시스템에 대한 관리 책임 부재를 드러냈다"며 "부산시 전역 공중화장실 관리체계를 새롭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최근 현장 조사에 이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시뮬레이션 결과 문제 화장실 배수구에서 산업안전보건법이 정한 단시간 허용 농도 기준치 15ppm 60배가 넘는 황화수소 1천ppm이 검출됐다.
황화수소는 유독한 유해화학물질로 고농도를 다량 흡입하면 세포 내부 호흡이 정지돼 중추신경이 마비되고 심하면 질식사에 이른다.
사망률은 1.2% 내외인 다른 사고성 재해 40배 수준에 달한다.
최근 5년간 질식 재해 95건 중 황화수소가 27건(28.4%)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여름철 발생 빈도는 전체 24건 중 14건(58.3%)으로 높아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부산환경운동연합은 "대부분 공중화장실 지하에 위치한 오수처리시설은 유해가스 발생 및 질식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밀폐공간'으로 분류되나, 관리 사각지대로 방치돼 있다"며 철저한 전수조사와 정화조 상태 및 환풍기 작동 여부 확인 등을 당부했다.
부산시에 있는 화장실은 모두 3천178개로 공중화장실은 601개, 개방형 민간화장실은 2천577개다.
/편지수기자 pyunjs@kyeongin.com
부산환경운동연합은 "부산시 차원 통합적인 공중화장실 오수정화 시스템에 대한 관리 책임 부재를 드러냈다"며 "부산시 전역 공중화장실 관리체계를 새롭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최근 현장 조사에 이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시뮬레이션 결과 문제 화장실 배수구에서 산업안전보건법이 정한 단시간 허용 농도 기준치 15ppm 60배가 넘는 황화수소 1천ppm이 검출됐다.
황화수소는 유독한 유해화학물질로 고농도를 다량 흡입하면 세포 내부 호흡이 정지돼 중추신경이 마비되고 심하면 질식사에 이른다.
사망률은 1.2% 내외인 다른 사고성 재해 40배 수준에 달한다.
최근 5년간 질식 재해 95건 중 황화수소가 27건(28.4%)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여름철 발생 빈도는 전체 24건 중 14건(58.3%)으로 높아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부산환경운동연합은 "대부분 공중화장실 지하에 위치한 오수처리시설은 유해가스 발생 및 질식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밀폐공간'으로 분류되나, 관리 사각지대로 방치돼 있다"며 철저한 전수조사와 정화조 상태 및 환풍기 작동 여부 확인 등을 당부했다.
부산시에 있는 화장실은 모두 3천178개로 공중화장실은 601개, 개방형 민간화장실은 2천577개다.
/편지수기자 pyunj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