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성시 폐금속 분진 보관창고에서 발생한 화재가 하루 만에 완전히 꺼졌다.
소방 당국은 지난 11일 오전 11시 26분께 화성시 우정읍 주곡리 폐금속 분진을 보관하는 2층짜리 창고 1층(연면적 2천100여㎡)에서 난 불이 12일 오전 10시 34분께 완전히 꺼졌다고 밝혔다.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불이 난 장소는 자동차 프레임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폐분진을 재활용하는 시설이다. 창고 내부에는 폐분진 300t가량이 보관된 상태였다. 정확한 피해 규모는 파악되지 않았다.
소방 당국은 금속 화재에서 물을 사용하면 폭발 위험이 있어 팽창질석 소화약제를 폐분진 위에 덮고 굴착기로 폐금속분을 옮기는 방식으로 불을 껐다.
소방 측은 "불길은 잡았지만, 아직 곳곳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며 "자연 연소시키는 방식으로 잔불을 정리할 계획인데, 20일 정도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소방과 경찰은 알루미늄 성분이 포함된 폐금속 분진에 습기가 찬 상태에서 열을 받았거나 무게에 따른 압력 등 마찰의 영향을 받아 자연발화가 된 것으로 보고 자세한 원인을 조사 중이다.
/양형종기자 yanghj@kyeongin.com
소방 당국은 지난 11일 오전 11시 26분께 화성시 우정읍 주곡리 폐금속 분진을 보관하는 2층짜리 창고 1층(연면적 2천100여㎡)에서 난 불이 12일 오전 10시 34분께 완전히 꺼졌다고 밝혔다.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불이 난 장소는 자동차 프레임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폐분진을 재활용하는 시설이다. 창고 내부에는 폐분진 300t가량이 보관된 상태였다. 정확한 피해 규모는 파악되지 않았다.
소방 당국은 금속 화재에서 물을 사용하면 폭발 위험이 있어 팽창질석 소화약제를 폐분진 위에 덮고 굴착기로 폐금속분을 옮기는 방식으로 불을 껐다.
소방 측은 "불길은 잡았지만, 아직 곳곳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며 "자연 연소시키는 방식으로 잔불을 정리할 계획인데, 20일 정도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소방과 경찰은 알루미늄 성분이 포함된 폐금속 분진에 습기가 찬 상태에서 열을 받았거나 무게에 따른 압력 등 마찰의 영향을 받아 자연발화가 된 것으로 보고 자세한 원인을 조사 중이다.
/양형종기자 yang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