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66만5천명, 6년새 25만 ↑
같은기간 28세 이하 '제자리 수준'
기능 인력도 50대 이상 절반 넘어
"적정공사비·중소업체 지원 필요"
우리 건설현장이 청년층의 유입은 줄어드는 반면 고령층은 늘어나면서 빠르게 늙어가고 있다.
3D 업종에 불안한 고용까지 겹치면서 청년층이 기피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돼 적정공사비 확보에 따른 안정적인 생활기반 마련과 고소득이 가능한 기능인력 육성 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5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건설업에 종사하는 고령층 근로자(55~79세)는 66만5천명으로 전년 동기 64만6천명 대비 1만9천명 증가했다.
지난 2013년 41만5천명이던 건설업종 고령자 수는 2017년 61만7천명으로 48% 증가해 60만명을 넘어선 이후 꾸준히 늘고 있다.
하지만 청년층(15~28세)의 건설업 종사자 수는 13만8천명으로 같은 기간 1천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난 2016년 10만6천명에서 2017년 10만3천명으로 3천명 줄다가 지난해 5월 13만7천명으로 늘었지만 올해는 증가세가 둔화됐다. 이에 청년층의 취업자 330만1천명 가운데 건설업 비중은 4.2%에 불과한 실정이다.
농림어업(1.2%) 다음으로 가장 낮다. 또 경력·숙련직인 건설기능인력도 지난 2000년 50대와 60대의 비중은 각각 19%, 5%로 낮았지만 지난해는 36%, 16%로 치솟았다. 절반 이상의 건설기능인력이 50대 이상인 셈이다.
노동강도가 타 업종 대비 높은데 임금과 복지 등 노동조건은 나쁘다는 인식이 강해 청년층이 기피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중소 건설기업이 활용 가능한 고용지원, 인센티브 지급, 교육·훈련 지원 등 정부 지원사업의 활용도가 저조하고 인지조차 미흡한 실정이다.
실제로 대한건설협회가 조사한 결과 이들의 정부 지원사업에 대한 인지도는 평균 41.2%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응답 기업들 대부분은 중·장년층 기술인력의 고용지원(56.9%)과 경영여건 개선 지원(56.9%) 등 정부 차원의 지원사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정부 지원정책이 청년, 실업자, 고령자에만 집중돼 중소 건설기업의 허리인 젊은 근로자는 지원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며 "공사비 정상화를 통한 적정공사비 마련, 근로자 능력에 맞는 적정임금 지급, 중소건설 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
고된 노동·불안한 고용… 청년인력 오지않는 '건설업'
입력 2019-08-25 20:56
수정 2019-08-25 20:56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08-26 12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
투표진행중 2024-11-17 종료
법원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에 대한 1심 선고 공판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습니다. 벌금 100만원 이상의 유죄가 최종 확정된다면 국회의원직을 잃고 차기 대선에 출마할 수 없게 됩니다. 법원 판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