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2016년 연평균 3만5150개
인구·투자 대비 대전·서울에 밀려
실질적 생산성 극대화 정책 필요

경기도가 혁신 역량의 바로미터(Barometer)라 불리는 '특허' 등록 수에서 전국 1위를 기록했지만, 투자액 대비 특허등록 생산성에선 최하위로 나타나 관련 정책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일 한국은행 경기본부의 '실용 특허'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KIPO(한국특허청)·USPTO(미국특허청)에 등록된 연평균 특허는 경기도 3만5천150개, 서울 2만5천300개, 대전 9천550개, 경남 4천510개, 경북 3천798개, 인천 3천647개 등이었다. → 표 참조

2019090101000000500107791

전국에서 가장 많은 기업이 위치한 경기도가 핵심 대기업이 소재한 서울, 카이스트·한국항공우주연구원·한국원자력연구원 등 다양한 연구기관이 있는 대전을 제치고 전국 특허 등록 1위 지역으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수만 고려한 수치일 뿐 질적 측면까지 따져보면 상황이 달라진다.

인구 1천명 당 특허 건수를 나타내는 '인구대비 특허 등록' 수치는 대전(5.1)이 가장 높았고, 경기(2.8)와 서울(2.4)이 뒤를 이었다. 단순 등록 수에서 뒤처졌던 대전이 인구 대비 생산성으로는 3개 지역 최고 우위를 점한 것이다.

'R&D(연구·개발) 10억 투자액 대비 특허 등록' 생산성에서도 경기도가 1.1로 서울(2.4), 대전(1.4)보다 뒤처졌다.

특히 특허의 양과 질을 모두 반영한 H-Index(혁신지수)로 따졌을 때 2002~2004년 경기도는 14로 서울과 같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나란히 전국 1위를 기록했지만 2005~2007년에는 경기도가 16, 서울이 19를 기록하면서 서울이 독보적 1위가 됐다. 이후 2013년까지 경기도는 서울을 앞지르지 못하고 있다.

한은 경기본부 관계자는 "경기지역 특허는 질이 아닌 양에 집중돼 있고, 이마저도 중소기업이 아닌 대부분 삼성 등 대기업이 출원한 것들로 분석된다"면서 "지역 혁신 역량이라 할 수 있는 특허의 실질적 생산성을 극대화 시키려면 질적 측면까지 고려한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준석기자 joons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