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제안' 재난안전 연구과제 선정
행안부와 '수계 전환 매뉴얼' 개발
주민 알림·보상 방안도 수립키로

붉은 수돗물 사태로 홍역을 치른 인천시가 행정안전부와 함께 상수도 위기 관리 대응 표준 시스템 개발에 착수했다.

인천시는 시가 제안한 '수돗물 수질 자가진단 및 수계전환 안전관리 시스템 기술개발'이 중앙-지방 재난안전 연구개발 과제로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인천시와 행안부는 수질 사고에 신속 대응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하고, 사고 발생 전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또 붉은 수돗물 사태의 원인이 된 '수계전환'의 표준 매뉴얼을 개발해 전국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붉은 수돗물 사태는 인천시가 점검에 들어간 공촌정수장 대신 수산정수장의 물을 대체 공급하는 수계전환 과정에서 발생했다.

높은 압력의 물이 일시에 역방향으로 흐르면서 관로의 이물질이 떨어져 나가 물에 섞였다. 이 사태로 서구·영종·강화 지역 26만 가구가 피해를 입었다.

인천시는 사태 초기 '먹는 물' 기준을 충족한다며 문제가 없다는 식으로 안일하게 대응했다.

주민들은 필터와 황사용 마스크가 갈색으로 변하는 현상이 나아지지 않자 불안해 했지만, 수돗물 수질검사 항목에는 필터 검사가 없는 터라 사회적 혼란이 장기간 이어졌다.

수질 사고가 재난인지 아닌지 여부도 논란이 있어 재난안내문자가 제때 발송되지 않았다.

인천시는 내년까지 행안부와 함께 수계전환의 계획 수립부터 작업 시행, 후속 모니터링에 이르는 전 과정을 표준화한 시스템을 만들 계획이다.

필터 검사 등 주민들의 높아진 기대치에 맞는 수질 검사 기법도 도입할 계획이다. 사고 발생 시 대응 매뉴얼과 주민 알림 체계, 보상 방안도 수립하기로 했다. 행안부는 이번 사업에 예산 5억원을 지원한다.

인천시 관계자는 "붉은 수돗물은 인천시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전국 노후 상수관에서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문제"라며 "국민들에 큰 불편을 끼치는 사태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표준 시스템 개발 사업을 통해 신뢰를 회복하겠다"고 말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