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92901002051500100901
황준성 경제부 기자
파주에서 시작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연천과 김포에 이어 인천 강화군으로 확대되면서 방역 당국을 비롯해 양돈 농가, 국민까지 울상이다. 자칫 전국으로 확산될 경우에는 우리 양돈 산업의 피해는 천문학적으로 커지고, 공급 부족에 서민들마저 먹거리를 잃을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이미 국내 돼지고기 가격은 이를 반영하듯 급등세다. 지난 28일 기준 돼지고기 도매가격은 ㎏당 5천657원으로 전국일시이동중지 조치가 내려지기 전 직전 거래일인 26일(4천289원)보다 31.9% 뛰었다. 한 달 전과 비교하면 35.4%, 1년 전보다는 15.2% 각각 올랐다.

정부는 지난달 말 기준으로 돼지 사육 수가 1천228만마리로 예년 대비 13%로 많고 수입도 24.2% 높은 31만3천t에 당장의 수급은 이상 없다지만, 시장은 불안한 기색을 내비치고 있다.

ASF를 앓는 중국이 전 세계의 돼지고기를 사실상 싹쓸이 하면서 수입 가격은 갈수록 높아지고 국산 돼지고기까지 수급이 불안한데 정부는 혼란은 없을 것이라고만 말하고 있어서다.

앞서 정부는 차단 방역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했지만 결국 우리나라도 ASF 발병국이 된 것처럼 정부에 대한 신뢰는 이미 바닥이다.

정부의 발표를 양돈가뿐 아니라 전 국민이 믿기 위해서는 이렇다 할 결과물이 있어야 한다. 정확한 발병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적어도 모든 시도는 해봐야 한다는 것이다.

확산 방역에 사활을 거는 것은 기본이고 이제라도 원인의 하나로 추측되는 야생 멧돼지에 대해서도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현재와 같은 확산 추세를 보면 북한에서 넘어온 야생 멧돼지뿐만 아니라 국내에 있던 개체들까지 감염되는 것은 시간 문제다.

또한 남북 공조 방역도 서둘러 이뤄져야 한다. 열악한 북한의 방역 시스템을 우리 정부가 마냥 손 놓는다면, 당장의 국내 확산은 막을 수 있겠지만 언제 또 북한에서 ASF 바이러스가 넘어오지 않는다는 보장도 할 수 없으니 말이다. 여지가 있는 것에 대한 모든 차단은 필수인 셈이다.

/황준성 경제부 기자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