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설득 영상연설 공개·편지발송
폐기물 자체 처리·자원순환 강조
증설 안 하더라도 '존치 필요' 설명
박남춘 인천시장은 10일 청라소각장 현대화 사업에 대한 인근 지역 주민 반대 여론과 관련해 "소각장 현대화 사업은 청라만의 일이 아니라 수도권매립지 폐쇄와 관련된 일"이라고 말했다.
박남춘 시장은 이날 공개한 대시민 영상 연설에서 이같이 밝히고 "각 지역이 자체적으로 폐기물 처리와 자원순환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역별로 공평하게 환경 부담을 해야 한다"고 했다.
인천시는 수도권 3개 시·도가 공동으로 사용하던 서구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를 2025년 종료하겠다는 원칙을 세우고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
환경부 주도의 공동 대체 매립지 조성과 인천시만의 자체 매립지 조성이라는 '투 트랙'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다.
어떤 방식이든 폐기물을 직매립하는 비위생 방식에서 벗어나려면 소각장 용량을 확보해야 하는 터라 인천시는 기존 청라소각장의 현대화사업과 각 군·구별 폐기물 처리시설의 수요·입지에 대한 용역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청라 주민들은 인천시가 현대화 사업을 빌미로 증설을 시도하고 있다고 반발하며 폐쇄·이전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박남춘 시장은 "청라소각장은 증설하지 않겠다. 다만 시설 노후화로 처리량이 줄었고(하루 500t→350t), 환경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최신 설비로 현대화 해야 한다"며 "최소한 서구지역 발생 폐기물의 소각을 위해서라도 존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박 시장은 또 "인천은 수도권매립지 폐쇄를 주장하면서도 자원순환율을 높이고 배출량을 줄이는 노력을 하지 못했다"며 "수집·운반·재활용·소각·최종 매립에 이르는 폐기물 관리체계를 탄탄하게 개선해야 서울·경기에 발생지 처리원칙을 당당히 요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이날 영상 연설에 앞서 청라 1·2·3동 43만가구에 이러한 내용의 편지를 발송하고 협조를 요청했다. 인천시는 11일 폐기물 정책을 주제로 한 시민 대토론회를 시청 대회의실에서 개최한다. 또 범시민네트워크를 구성해 시민 공감대를 형성할 방침이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
박남춘 인천시장 "청라소각장 현대화, 매립지 폐쇄 위해 불가피"
입력 2019-10-10 22:13
수정 2019-11-26 20:32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10-11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