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자율주행 상용화 3년 단축
친환경차 비중, 2030년 33%로
2025년 '플라잉카' 실용화 계획
"산업전반 혁신동력 강화 기회"
오는 2025년이면 자동차가 하늘을 날고 2027년엔 전국 주요도로에서 운전자가 가만히 있어도 자동차가 스스로 안전하게 운전하는 시대가 도래한다.
또 2030년엔 국내서 판매되는 신차 가운데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차의 비중이 3대 중 1대꼴로 늘어날 전망이다.
15일 정부는 이 같은 내용의 '2030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하고 화성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미래자동차 비전선포식'을 가졌다.
'2030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을 보면 정부는 향후 10년간 우리 미래차 산업이 나아갈 '3대 추진전략'으로 ▲친환경차 기술력과 국내 보급 가속화를 통한 세계시장 적극 공략 ▲2024년까지 완전자율주행 제도·인프라(주요도로) 세계 최초 완비 ▲민간투자(60조원) 기반 개방형 미래차 생태계로 신속 전환 등을 제시했다.
우선 2030년 모든 차종에서 친환경차를 출시해 국내 비중을 33%로, 세계시장 점유율을 1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올해 전기·수소차 판매 비중은 2.6%다. → 그래프 참조
또 자율주행차 미래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완전자율주행 상용화 시점을 기존 2030년에서 2027년으로 3년을 앞당긴다. 이에 따라 2027년이면 주요도로에서 운전자 개입이 필요 없는 완전자율주행(레벨4)이 세계 최초로 상용화될 전망이다.
새로운 교통서비스를 위해선 2025년에 하늘을 나는 플라잉카(flyingcar)가 실용화되고 단계적으로 확산된다. 기술개발 및 법제도 정비 등을 통해 플라잉카의 실증·시범사업이 가능한 단계까지 간다는 것이다.
정부는 글로벌 시장의 경쟁구도가 끊임없이 변하는 가운데 주요국과 글로벌 기업이 현재 같은 출발 선상에 위치하는 만큼 우리 강점을 활용해 빠르게 대응하면 미래차 경쟁력 세계 1위도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차 차량성능과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 보유국으로서 전국 고속도로 광통신 교통정보 수집체계가 완비돼 있고 자율주행기능 중 우리 강점인 반도체 기술기반을 활용할 경우 핵심부품(주위환경 인지 센서 등)의 국산화가 가능하다는 점 등이 강점으로 꼽힌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전 세계 생산 7위의 자동차 강국인 우리에게 미래차 전환은 자동차산업이 크게 도약하고 산업전반의 혁신동력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