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취업자 증가 폭이 두 달 연속 30만명대 이상을 기록했다.
9월 기준으로 고용률은 23년 만에 가장 높았고, 실업률은 5년 만에 제일 낮았다.
9월 취업자 수는 서비스업이 전체 증가세를 견인한 가운데 제조업의 감소폭은 확대됐다. 30·40대 취업자 수도 전년 동월 대비 줄었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는 2천740만4천명으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34만8천명 증가했다.
이번 취업자 증가 폭은 2017년 3월(46만3천명) 이후 2년 5개월 만에 가장 컸던 8월(45만2천명)에는 못 미치지만 두 달 연속 30만명을 웃돌며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증가 폭은 지난 8월을 제외한다면 2017년 5월(37만9천명) 이후 가장 크다.
취업자를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7만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8만3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7만9천명) 등에서 주로 늘었다.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의 증가는 중국인 등 외국인 관광객 증가와 배달음식 선호 현상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반면 제조업(-11만1천명), 도매 및 소매업(-6만4천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6만2천명) 등에서는 감소했다.
18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인 제조업은 지난 3월(-10만8천명) 이후 감소 폭이 10만명대 아래였다가, 지난달 11만명 이상 줄며 감소 폭을 다시 키웠다.
반도체를 포함한 전자부품, 전기장비 산업이 제조업 취업자 감소의 큰 축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선박 수주가 늘면서 조선업이 포함된 기타운송장비는 취업자 수가 플러스로 전환했다.
금융업은 올해 1월부터 9개월째 취업자 감소세가 이어졌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가 1년 전보다 54만1천명 늘고, 일용근로자와 임시근로자는 각각 11만3천명, 1만명 감소했다.
일용근로자 감소 폭이 비교적 컸던 이유는 9월이 명절 직후였고, 링링과 같이 강수량이 많았던 태풍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11만9천명 증가했고,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16만6천명 줄었다. 무급가족종사자는 2만3천명 감소했다.
통계청은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의 감소가 도·소매업 업황이 부진하고 신규 창업 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직원 없이 1인 창업을 하는 사례가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령계층별로는 60대 이상에서 38만명, 50대에서 11만9천명, 20대에서 6만4천명 각각 증가했다. 다만 40대에서는 17만9천명, 30대에서 1만3천명 각각 감소했다. 40대 취업자는 해당 연령대의 인구 감소와 맞물려 2015년 말부터 줄기 시작했는데, 작년부터는 취업자 감소폭이 인구 감소폭을 웃도는 달이 많아졌다.
통계청은 40대 취업자 감소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의 임시직의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1.5%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올랐다. 9월 기준으로 1996년(61.8%) 이후 23년 만에 최고다.
고용률은 올해 들어 1월(-0.3%포인트)과 4월(-0.1%포인트)을 제외하고 모든 달에서 1년 전보다 상승했다.
청년층 고용률(15∼29세)은 43.7%로 0.8%포인트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7.1%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상승했다. 1989년 65세 이상을 별도로 작성한 이래 동월 기준으로 가장 높았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1.3%p), 30대(0.9%p), 50대(0.6%p), 20대(0.5%p)의 고용률은 전년 동월 대비 상승했으나 40대(-0.9%p)에서는 하락했다.
지난달 실업자는 88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14만명 감소했다. 9월로만 비교하면 2015년(86만7천명) 이후 가장 적다.
실업률은 3.1%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하락했다. 9월 기준으로 2014년(3.1%) 이후 최저다.
청년 실업률은 7.3%로 1.5%포인트 떨어졌다. 2012년 9월 6.7% 이후 7년 만에 가장 낮았다.
체감 실업률을 보여주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0.8%로 1년 전보다 0.6%포인트 내렸다.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는 12만7천명 증가한 1천628만5천명이었다.
활동 상태별로 보면 쉬었음(33만9천명) 등에서 1년 전보다 증가했으나 가사(-11만2천명), 재학·수강 등(-5만8천명)에서는 감소했다.
취업준비자는 71만7천명으로 1만5천명 감소했다. 구직단념자는 53만2천명으로 2만4천명 줄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고용동향 안에 긍정적 모습과 부정적 모습이 혼재한 상태"라며 "상용직 증가가 지속하며 전체 취업자 증가 폭이 어느 정도 규모를 유지하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제조업과 도소매업 (취업자) 감소가 지속하는 모습은 부정적"이라고 평가했다.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는 보도참고자료에서 "8월에 이어 9월에도 취업자 수, 고용률, 실업률 등 3대 고용지표가 모두 개선되며 고용시장이 뚜렷한 회복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가용한 정책수단을 총동원해 경제·고용여건 개선에 총력을 다하는 한편, 경제 체질개선·구조개혁을 위한 과제들도 차질 없이 추진해 중장기적 리스크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9월 기준으로 고용률은 23년 만에 가장 높았고, 실업률은 5년 만에 제일 낮았다.
9월 취업자 수는 서비스업이 전체 증가세를 견인한 가운데 제조업의 감소폭은 확대됐다. 30·40대 취업자 수도 전년 동월 대비 줄었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는 2천740만4천명으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34만8천명 증가했다.
이번 취업자 증가 폭은 2017년 3월(46만3천명) 이후 2년 5개월 만에 가장 컸던 8월(45만2천명)에는 못 미치지만 두 달 연속 30만명을 웃돌며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증가 폭은 지난 8월을 제외한다면 2017년 5월(37만9천명) 이후 가장 크다.
취업자를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7만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8만3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7만9천명) 등에서 주로 늘었다.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의 증가는 중국인 등 외국인 관광객 증가와 배달음식 선호 현상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반면 제조업(-11만1천명), 도매 및 소매업(-6만4천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6만2천명) 등에서는 감소했다.
18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인 제조업은 지난 3월(-10만8천명) 이후 감소 폭이 10만명대 아래였다가, 지난달 11만명 이상 줄며 감소 폭을 다시 키웠다.
반도체를 포함한 전자부품, 전기장비 산업이 제조업 취업자 감소의 큰 축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선박 수주가 늘면서 조선업이 포함된 기타운송장비는 취업자 수가 플러스로 전환했다.
금융업은 올해 1월부터 9개월째 취업자 감소세가 이어졌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가 1년 전보다 54만1천명 늘고, 일용근로자와 임시근로자는 각각 11만3천명, 1만명 감소했다.
일용근로자 감소 폭이 비교적 컸던 이유는 9월이 명절 직후였고, 링링과 같이 강수량이 많았던 태풍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11만9천명 증가했고,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16만6천명 줄었다. 무급가족종사자는 2만3천명 감소했다.
통계청은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의 감소가 도·소매업 업황이 부진하고 신규 창업 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직원 없이 1인 창업을 하는 사례가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령계층별로는 60대 이상에서 38만명, 50대에서 11만9천명, 20대에서 6만4천명 각각 증가했다. 다만 40대에서는 17만9천명, 30대에서 1만3천명 각각 감소했다. 40대 취업자는 해당 연령대의 인구 감소와 맞물려 2015년 말부터 줄기 시작했는데, 작년부터는 취업자 감소폭이 인구 감소폭을 웃도는 달이 많아졌다.
통계청은 40대 취업자 감소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의 임시직의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1.5%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올랐다. 9월 기준으로 1996년(61.8%) 이후 23년 만에 최고다.
고용률은 올해 들어 1월(-0.3%포인트)과 4월(-0.1%포인트)을 제외하고 모든 달에서 1년 전보다 상승했다.
청년층 고용률(15∼29세)은 43.7%로 0.8%포인트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7.1%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상승했다. 1989년 65세 이상을 별도로 작성한 이래 동월 기준으로 가장 높았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1.3%p), 30대(0.9%p), 50대(0.6%p), 20대(0.5%p)의 고용률은 전년 동월 대비 상승했으나 40대(-0.9%p)에서는 하락했다.
지난달 실업자는 88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14만명 감소했다. 9월로만 비교하면 2015년(86만7천명) 이후 가장 적다.
실업률은 3.1%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하락했다. 9월 기준으로 2014년(3.1%) 이후 최저다.
청년 실업률은 7.3%로 1.5%포인트 떨어졌다. 2012년 9월 6.7% 이후 7년 만에 가장 낮았다.
체감 실업률을 보여주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0.8%로 1년 전보다 0.6%포인트 내렸다.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는 12만7천명 증가한 1천628만5천명이었다.
활동 상태별로 보면 쉬었음(33만9천명) 등에서 1년 전보다 증가했으나 가사(-11만2천명), 재학·수강 등(-5만8천명)에서는 감소했다.
취업준비자는 71만7천명으로 1만5천명 감소했다. 구직단념자는 53만2천명으로 2만4천명 줄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고용동향 안에 긍정적 모습과 부정적 모습이 혼재한 상태"라며 "상용직 증가가 지속하며 전체 취업자 증가 폭이 어느 정도 규모를 유지하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제조업과 도소매업 (취업자) 감소가 지속하는 모습은 부정적"이라고 평가했다.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는 보도참고자료에서 "8월에 이어 9월에도 취업자 수, 고용률, 실업률 등 3대 고용지표가 모두 개선되며 고용시장이 뚜렷한 회복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가용한 정책수단을 총동원해 경제·고용여건 개선에 총력을 다하는 한편, 경제 체질개선·구조개혁을 위한 과제들도 차질 없이 추진해 중장기적 리스크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