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일부 지역에서 야생 멧돼지 사체가 발견됨에 따라 방역 당국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연관성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 조사 결과 최근 강원도 민간인 출입 통제선(민통선)과 비무장지대(DMZ)에서 폐사체로 발견된 7마리 야생 멧돼지에서 모두 ASF 양성 반응이 나옴에 따라 방역 당국이 바짝 긴장하면서 방역 강화에 나섰다.
이맘때쯤이면 먹이활동을 위해 민가까지 출몰하는 야생멧돼지 개체 수가 점차 늘면서 주민 불안은 물론 확산일로에 있는 돼지 열병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16일 전북 고창군과 경찰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 49분께 고창군 해리면 광승리 해안가에서 한 행인이 야생 멧돼지 사체를 발견해 신고했다.
경찰과 군 관계자는 해안가 일대를 통제하고 사체를 수거, 폐사체의 시료를 국립환경과학원에 보내 아프리카돼지열병과 관련이 있는지 검사를 의뢰했다.
방역 당국은 멧돼지가 바다에 떠다니다가 해안가에 밀려온 것으로 추정하면서 발견 장소 일대를 소독하고 있다.
전날에는 충남 천안과 금산에서도 멧돼지 사체가 발견돼 국립환경과학원이 아프리카돼지열병 관련 정밀 검사를 하고 있다.
같은 날 오후 9시 33분께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의 한 지하차도에서는 차에 치인 멧돼지 사체가 발견됐다.
고양시 관계자는 "멧돼지 사체에서 다른 증상이 보이지 않아 수거한 사체는 매몰했다"면서도 죽은 멧돼지로부터 시료를 채취해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지난 14일 천안에서 포획한 멧돼지는 돼지 열병 검사 결과 음성으로 확인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또 같은 날 오전 8시께 광주대구고속도로 상행 구간 농공휴게소 앞에서 로드킬 당한 야생멧돼지 사체의 시료를 채취해 돼지 열병 연관성을 분석하고 있다.
접경지역 야생 멧돼지 폐사체에서 잇따라 ASF 바이러스가 검출됨에 따라 국방부와 환경부는 야생멧돼지 포획 및 제거 작전을 15일부터 펼치고 있다.
800∼900명 규모의 '민관군 합동포획팀'은 남방한계선(GOP)과 민통선 구간 내 야생 멧돼지 출몰·서식지역을 대상으로 제거에 나서는 동시에 포획 틀도 설치해 야생 멧돼지 개체 수를 감소시킬 계획이다.
멧돼지의 활동 특성상 한강 이남에서 폐사체로 발견된 야생멧돼지는 민통선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했다기보다는 해당 지역에서 서식한 개체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야생멧돼지의 행동반경은 개체별 혹은 서식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1㎢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주로 야간 활동이 많은 야생멧돼지의 하루평균 이동 거리 역시 보통 1㎞로 미만으로 주 서식지를 벗어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민통선 부근의 야생멧돼지가 한강 이남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상훈 국립생물자원관 박사는 "멧돼지 특성상 민통선 인근의 멧돼지가 한강 이남까지 이동하지는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멧돼지는 멀리 이동하는 동물이 아니라서 민통선 쪽의 멧돼지들이 전북 고창 같은 지역까지 내려왔을 리는 없다"고 말했다.
이런 특성을 반영하듯 충남지역서 이날까지 포획된 16마리의 야생 멧돼지의 바이러스 검사 결과 13마리는 음성으로 확인됐다. 나머지 3마리는 검사가 진행 중이다.
한 박사는 "한강 이남에서 아직 ASF가 퍼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 지역에서 발견된 멧돼지 사체와 ASF의 연관성은 더 지켜봐야 한다"면서도 "하지만 멧돼지는 ASF 면역체계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멧돼지가 ASF에 걸리면 죽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각 지역에서 멧돼지 사체들이 발견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수렵단체들이 포획한 뒤 멧돼지를 그대로 버리고 가거나 총에 맞은 멧돼지가 달아났다가 시간이 흘러 죽은 경우일 수 있다"면서 멧돼지의 사망 원인에 대한 과학적인 검사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야생멧돼지로 인한 돼지 열병 전파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전북도는 돼지 열병 차단을 위해 지난달 26일부터 돼지와 분뇨, 사료의 도 이외 이동을 금지하고 도내 26곳에서 운영해 온 거점소독시설도 30곳으로 늘렸다.
사육두수가 135만 마리로 전국의 12%를 차지하는 전북의 경우 ASF가 유입되면 모두 도살 처분할 수밖에 없어 양돈농가의 막심한 피해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야생멧돼지에 의한 전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포획 작업을 하고 있으며 멧돼지 접근을 막기 위한 야생동물 기피제를 지급하는 등 소독과 통제 등 강력한 방역 조치를 하고 있다"면서 ASF 의심 증상이 보이면 즉각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특히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 조사 결과 최근 강원도 민간인 출입 통제선(민통선)과 비무장지대(DMZ)에서 폐사체로 발견된 7마리 야생 멧돼지에서 모두 ASF 양성 반응이 나옴에 따라 방역 당국이 바짝 긴장하면서 방역 강화에 나섰다.
이맘때쯤이면 먹이활동을 위해 민가까지 출몰하는 야생멧돼지 개체 수가 점차 늘면서 주민 불안은 물론 확산일로에 있는 돼지 열병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16일 전북 고창군과 경찰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 49분께 고창군 해리면 광승리 해안가에서 한 행인이 야생 멧돼지 사체를 발견해 신고했다.
경찰과 군 관계자는 해안가 일대를 통제하고 사체를 수거, 폐사체의 시료를 국립환경과학원에 보내 아프리카돼지열병과 관련이 있는지 검사를 의뢰했다.
방역 당국은 멧돼지가 바다에 떠다니다가 해안가에 밀려온 것으로 추정하면서 발견 장소 일대를 소독하고 있다.
전날에는 충남 천안과 금산에서도 멧돼지 사체가 발견돼 국립환경과학원이 아프리카돼지열병 관련 정밀 검사를 하고 있다.
같은 날 오후 9시 33분께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의 한 지하차도에서는 차에 치인 멧돼지 사체가 발견됐다.
고양시 관계자는 "멧돼지 사체에서 다른 증상이 보이지 않아 수거한 사체는 매몰했다"면서도 죽은 멧돼지로부터 시료를 채취해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지난 14일 천안에서 포획한 멧돼지는 돼지 열병 검사 결과 음성으로 확인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또 같은 날 오전 8시께 광주대구고속도로 상행 구간 농공휴게소 앞에서 로드킬 당한 야생멧돼지 사체의 시료를 채취해 돼지 열병 연관성을 분석하고 있다.
접경지역 야생 멧돼지 폐사체에서 잇따라 ASF 바이러스가 검출됨에 따라 국방부와 환경부는 야생멧돼지 포획 및 제거 작전을 15일부터 펼치고 있다.
800∼900명 규모의 '민관군 합동포획팀'은 남방한계선(GOP)과 민통선 구간 내 야생 멧돼지 출몰·서식지역을 대상으로 제거에 나서는 동시에 포획 틀도 설치해 야생 멧돼지 개체 수를 감소시킬 계획이다.
멧돼지의 활동 특성상 한강 이남에서 폐사체로 발견된 야생멧돼지는 민통선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했다기보다는 해당 지역에서 서식한 개체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야생멧돼지의 행동반경은 개체별 혹은 서식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1㎢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주로 야간 활동이 많은 야생멧돼지의 하루평균 이동 거리 역시 보통 1㎞로 미만으로 주 서식지를 벗어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민통선 부근의 야생멧돼지가 한강 이남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상훈 국립생물자원관 박사는 "멧돼지 특성상 민통선 인근의 멧돼지가 한강 이남까지 이동하지는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멧돼지는 멀리 이동하는 동물이 아니라서 민통선 쪽의 멧돼지들이 전북 고창 같은 지역까지 내려왔을 리는 없다"고 말했다.
이런 특성을 반영하듯 충남지역서 이날까지 포획된 16마리의 야생 멧돼지의 바이러스 검사 결과 13마리는 음성으로 확인됐다. 나머지 3마리는 검사가 진행 중이다.
한 박사는 "한강 이남에서 아직 ASF가 퍼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 지역에서 발견된 멧돼지 사체와 ASF의 연관성은 더 지켜봐야 한다"면서도 "하지만 멧돼지는 ASF 면역체계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멧돼지가 ASF에 걸리면 죽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각 지역에서 멧돼지 사체들이 발견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수렵단체들이 포획한 뒤 멧돼지를 그대로 버리고 가거나 총에 맞은 멧돼지가 달아났다가 시간이 흘러 죽은 경우일 수 있다"면서 멧돼지의 사망 원인에 대한 과학적인 검사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야생멧돼지로 인한 돼지 열병 전파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전북도는 돼지 열병 차단을 위해 지난달 26일부터 돼지와 분뇨, 사료의 도 이외 이동을 금지하고 도내 26곳에서 운영해 온 거점소독시설도 30곳으로 늘렸다.
사육두수가 135만 마리로 전국의 12%를 차지하는 전북의 경우 ASF가 유입되면 모두 도살 처분할 수밖에 없어 양돈농가의 막심한 피해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야생멧돼지에 의한 전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포획 작업을 하고 있으며 멧돼지 접근을 막기 위한 야생동물 기피제를 지급하는 등 소독과 통제 등 강력한 방역 조치를 하고 있다"면서 ASF 의심 증상이 보이면 즉각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