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혈로 전파 우려 커진다던 당국
'포획틀 비효율성' 지적 잇따르자
연천군 일부 지역서 뒤늦게 허가
총기사용방식도 6마리 포획 그쳐
총기를 사용한 야생멧돼지 포획이 금지됐던 연천에 총기 포획 허가가 내려졌다.
금지조치가 내려진 지 하루 만에 결정이 번복되면서 또다시 '뒷북 방역'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특히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지역에서 총기포획을 실시하면 멧돼지 출혈이나 사냥개에 의해 전파 우려가 커진다는 당국의 주장을 스스로 뒤집은 것이어서 방역의 혼선이 지속되고 있다.
16일 국방부는 민·관·군 합동 멧돼지 포획팀이 연천군 일부 지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을 막기 위한 야생멧돼지 총기포획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대상 지역은 왕징면 강서리와 장남면 감염돼지가 발견된 곳으로, 반경 5㎞ 내에 철책을 친 뒤 총기를 사용해 멧돼지를 포획하는 작전이 벌어진다.
앞서 환경부는 돼지열병이 발생한 지역을 총기포획 대상지역에서 제외했다. 포획 시 발생하는 출혈, 엽견(사냥견)의 활동으로 오히려 바이러스가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였다.
대신 발생지역에 포획틀을 설치하겠다고 했지만 효율이 떨어진다는 지적(10월 16일자 1면 보도)이 이어졌다.
환경부에 따르면 포획틀은 1년에 개당 2마리의 멧돼지를 잡는 정도에 불과하고, 먹이 유인이나 포획까지 1~3개월이 소요된다.
그럼에도 총기포획을 실시할 수 없기에 환경부는 이달 말까지 접경지역에 포획틀 10개를 추가 설치하고, 소형 포획도구인 '포획트랩'(덫)을 200개 추가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지자체를 중심으로 총기 사용 요청이 제기됐고, 결국 총기 포획이 허용되기에 이르렀다. 돼지열병 초기부터 가장 강한 수준의 방역을 시행하겠다고 밝혔지만, 뒤늦게 강화된 조치를 시행하는 모순을 보인 것이다.
우여곡절 끝에 총기포획을 시행하게 됐지만 일부 지역에 한정되고 나머지 지역은 효율이 낮은 포획틀·포획트랩을 여전히 고수해 논란은 여전하다.
한편 비발생지역에서 이뤄지는 총기포획 방식도 실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파주시는 전날 밤부터 이날 오전까지 50여명의 포획단을 꾸려 총기 포획에 나섰지만 포획 개체수는 6마리에 그쳤다. 이는 멧돼지 이동을 최소화하면서 포획을 실시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로 환경부는 서식지별로 도주 가능 경로를 차단하면서 일제 포획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수렵인 300~600명이 30일 가량 작업할 때 예산만 18억~36억원이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해 선택하지 않았다.
내부적으로 타 시군의 포획단원이 집결하면 바이러스 확산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것으로 전해진다.
/오연근·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