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식밀도 증가 속도' 전국서 1위
최근 5년 사이 1.2마리 → 5.2마리
정부, 뒤늦게 수도권도 운영 추진
기존 규제는 그대로… '실효 의문'


야생멧돼지의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이 끊이지 않는(10월 21일자 3면 보도) 가운데, 경기도 내 '멧돼지 서식밀도' 증가 속도가 전국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나 감염 확산 우려도 커지고 있다.

도시화율이 높은 수도권 지역 특성상 멧돼지 수렵장이 없기 때문인데, 정부의 뒤늦은 '수렵장 운영' 조치도 예외 조항이 많고 복잡해 실제 운영까지 이어지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다.

21일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전국 평균 멧돼지 서식밀도(100㏊당 마릿수)는 지난 2014년 4.3마리에서 지난해 5.2마리로 소폭 상승했다.

하지만 경기도는 같은 기간 1.2마리에서 5.2마리로 불어나 4.3배로 급증했다.

2019102101001475700071351

멧돼지의 서식지인 산악지대를 보유한 나머지 7개 시·도(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에서 서식밀도가 유지되거나 최대 1.5배가량 늘어난 것과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지자체의 야생멧돼지 개체 수 관리 여부와 연결된다.

경기도의 경우 다른 지역보다 높은 도시화율과 중첩된 수도권 규제 등으로 수렵장 승인이 가능한 면적이 턱없이 적고, 인구가 밀집돼 총기사고 우려도 커 그동안 수렵장 운영 자체가 안 됐다.

반면 경기도를 제외한 7개 시·도 지역은 모두 수렵장 운영을 이어왔다. 야생 멧돼지로 인한 농작물 피해가 크고, 늘어나는 개체 수 관리 필요성도 높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접경지역 내 야생멧돼지에서도 ASF 발병 확산 기미를 보이자 뒤늦게 수도권에도 지난주부터 수렵장 운영 추진에 나섰다.

하지만 현장 여건도 고려치 않은 채 수렵장 운영 지시만 내려보낸 탓에 ASF 확산 방지엔 기여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기존 규제나 총기사고 우려 등을 해결할 방법 없이 공문만 내려보내 해당 지자체들이 수렵장 운영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내 한 지자체 관계자는 "생태계보전·습지보호·공원·군사시설·문화재보호지역, 휴양림·수목원, 사찰·교회 등 각종 수렵장 운영 불가지역을 빼고 나면 가능 지역이 사실상 없다"고 호소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수렵장 운영 여부가 멧돼지 서식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며 "지자체와 최대한 논의해 수렵장 운영을 통한 ASF 확산 방지에 나서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표 참조

/김준석기자 joons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