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자격증 교육·취업 훈련등
기존 정부 사업들과 상당수 '중복'

'낀 세대'가 서럽다.

위로는 부모가, 아래는 자녀들이 '신중년'만 바라보고 있다. 한국사회의 베이비붐(1955~1963년) 세대를 포함한 이들이 느끼는 불안감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정부도, 경기도도 이들을 위한 각종 정책을 쏟아내지만 별다른 차이도 없이 천편일률적인 정책으로 흐를 가능성이 커 실효성이 문제로 대두된다.

현재 신중년의 '인생 2막' 설계를 돕겠다며 도내 일부 기초자치단체들도 '인생 이모작 지원센터'를 건립하거나, 준비작업에 돌입한 단계다.


그러나 중앙단위 일자리 정책 등과 비교해 지역 센터만의 차별화를 이뤄내지 못한다면, 생색내기라는 비판에 직면하거나 단체장 치적 쌓기용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현재 도내 31개 시·군 중 신중년을 집중지원하기 위한 별도 조례를 제정한 지자체는 부천·수원·성남·안양 등 4곳이다.

이들 센터의 주된 역할은 신중년층 대상 인생 설계 상담, 자격증 교육, 취업훈련과 일자리 지원 등이다.다만, 이러한 기초단위 센터들의 지원사업 상당수가 실제로 기존 정부 사업과 겹친다. → 표 참조

하지만 지자체는 정부 사업과 일부 중복된다고 해도 신중년층 지원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항변한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한 도시에서 신중년층이 차지하는 비율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커진 탓이다. 수원시의 경우 신중년 인구(50~64세)는 26만3천500여명으로 전체 인구의 22%를 차지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지자체만의 '특색'을 강조했다.

'지방자치단체 50+세대 지원센터 운영사례 연구' 보고서를 낸 고양시정연구원 문정화 경제사회연구부장은 "신중년을 대상으로 한 단편적인 지원사업은 많다. 센터는 이렇게 분절된 사업들을 아우르는 '구심점' 역할을 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는 지자체 특성에 맞게 신중년들을 관리하고, 이들이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배재흥기자 jhb@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