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한·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열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한국·중국·일본이 경쟁으로 아세안에 대한 직접투자를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일본에 비하면 한국의 직접투자 비중은 3분의 1 수준이고 올해 한국의 수출이 전반적으로 부진하면서 대(對) 아세안 수출에서도 다소 아쉬운 실적을 냈다.
통상환경의 불확실성과 보호무역 기조 속에서 아세안은 한국 무역에서 더욱 중요한 위상을 차지할 것으로 보임에 따라 수출뿐만 아니라 수입도 늘리면서 중장기적인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15일 한국무역협회와 한국수출입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아세안 직접투자액은 61억3천600만달러(7조1천760억원)로 지난해 52억5천800만달러보다 16.7% 증가했다.
한국의 대아세안 직접투자액은 2010년 44억4천800만달러(5조2천19억원) 이후 연평균 4.2%씩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추세다.
성장하는 아세안 시장을 선점하려는 기업들의 움직임도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아세안 내 국내기업 신설 법인 수는 1천291개로 2010년 629개보다 2배가량 많아졌다.
아세안 시장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한국뿐만이 아니다.
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내놓은 '아세안 투자 결정요인 분석과 비즈니스 환경 진단' 보고서에 따르면 대아세안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입액은 2000년 218억에서 2018년 1천486억달러로 증가했다. 세계 총 FDI 유입액 대비 비중도 1.6%에서 11.5%로 10배 이상 확대됐다.
특히 중국과 일본의 관심이 크다.
중국은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를 추진하며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중심으로 투자가 크게 늘었고, 일본은 아세안 지역에 비제조업 부문 직접투자를 확대해 전체 직접투자액이 증가했다.
이에 따라 2015∼2018년 한·중·일이 세계의 대아세안 직접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4.6%로 2010∼2012년 평균 19.7%보다 4.9 %포인트 확대됐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6.0%에서 8.0%, 일본이 11.4%에서 12.4%, 한국이 2.4%에서 4.3%로 늘었다.
한국의 대아세안 진출(수출) 기업은 아세안 시장의 매력으로 '한국제품에 대한 꾸준한 수요'(22.2%), '현지 노동력 활용 용이성'(22.2%), '내수시장 성장성'(19.6%)을 꼽았다. 반면, '경쟁 심화'(31.7%), '행정절차의 복잡성'(22.2%) 등은 걸림돌로 작용한다고 밝혔다.
아세안에 대한 늘어나는 투자와 관심에 비해 올해 아세안으로의 수출 실적은 다소 아쉬웠다.
지난해 말부터 한국 수출이 내리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대아세안 수출 역시 1∼9월 누계 2.1% 감소했다.
2016년 -0.4%에서 2017년 27.8%, 2018년 5.1%로 2년 연속 증가율을 기록하다가 3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이다.
그래도 1∼9월 한국 전체 수출이 9.8% 감소한 것으로 고려하면 선방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아세안이 한국 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점점 커지고 있다.
산업연구원의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한 한·아세안 경제협력 강화 방안' 보고서를 보면 한국 수출에서 대아세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11.6%에서 2018년 16.5%로 4.9%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무역수지 흑자는 19억6천만달러에서 404억8천만달러(약 47조3천억원)로 크게 늘었다.
미중 무역분쟁, 일본의 수출규제 등 전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확산하는 상황에서 아세안은 무역 다변화 차원에서도 중요한 시장이다.
다만 2000년 이후 한국의 전체 수입 중 아세안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은 11% 전후에서 정체돼 있어 추후 불공정 무역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 협력 확대를 위해서는 수입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조언했다.
현정부 들어 아세안이 신남방 정책의 핵심지역으로 떠오르면서 아세안 회원국과의 양자 혹은 다자 간 자유무역협정(FTA) 협의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아세안과의 첫 양자협의 결실인 한·인도네시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이 지난 10월 실질 타결됐고, 7년을 끌어온 세계 최대이자 한국 첫 메가 FTA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은 지난 5일 타결됐다.
오는 25∼26일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는 한국과 아세안 간 협력을 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2일 부산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아세안과 두터운 신뢰를 토대로 미래동반성장의 상생협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다만 일본에 비하면 한국의 직접투자 비중은 3분의 1 수준이고 올해 한국의 수출이 전반적으로 부진하면서 대(對) 아세안 수출에서도 다소 아쉬운 실적을 냈다.
통상환경의 불확실성과 보호무역 기조 속에서 아세안은 한국 무역에서 더욱 중요한 위상을 차지할 것으로 보임에 따라 수출뿐만 아니라 수입도 늘리면서 중장기적인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15일 한국무역협회와 한국수출입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아세안 직접투자액은 61억3천600만달러(7조1천760억원)로 지난해 52억5천800만달러보다 16.7% 증가했다.
한국의 대아세안 직접투자액은 2010년 44억4천800만달러(5조2천19억원) 이후 연평균 4.2%씩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추세다.
성장하는 아세안 시장을 선점하려는 기업들의 움직임도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아세안 내 국내기업 신설 법인 수는 1천291개로 2010년 629개보다 2배가량 많아졌다.
아세안 시장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한국뿐만이 아니다.
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내놓은 '아세안 투자 결정요인 분석과 비즈니스 환경 진단' 보고서에 따르면 대아세안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입액은 2000년 218억에서 2018년 1천486억달러로 증가했다. 세계 총 FDI 유입액 대비 비중도 1.6%에서 11.5%로 10배 이상 확대됐다.
특히 중국과 일본의 관심이 크다.
중국은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를 추진하며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중심으로 투자가 크게 늘었고, 일본은 아세안 지역에 비제조업 부문 직접투자를 확대해 전체 직접투자액이 증가했다.
이에 따라 2015∼2018년 한·중·일이 세계의 대아세안 직접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4.6%로 2010∼2012년 평균 19.7%보다 4.9 %포인트 확대됐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6.0%에서 8.0%, 일본이 11.4%에서 12.4%, 한국이 2.4%에서 4.3%로 늘었다.
한국의 대아세안 진출(수출) 기업은 아세안 시장의 매력으로 '한국제품에 대한 꾸준한 수요'(22.2%), '현지 노동력 활용 용이성'(22.2%), '내수시장 성장성'(19.6%)을 꼽았다. 반면, '경쟁 심화'(31.7%), '행정절차의 복잡성'(22.2%) 등은 걸림돌로 작용한다고 밝혔다.
아세안에 대한 늘어나는 투자와 관심에 비해 올해 아세안으로의 수출 실적은 다소 아쉬웠다.
지난해 말부터 한국 수출이 내리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대아세안 수출 역시 1∼9월 누계 2.1% 감소했다.
2016년 -0.4%에서 2017년 27.8%, 2018년 5.1%로 2년 연속 증가율을 기록하다가 3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이다.
그래도 1∼9월 한국 전체 수출이 9.8% 감소한 것으로 고려하면 선방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아세안이 한국 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점점 커지고 있다.
산업연구원의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한 한·아세안 경제협력 강화 방안' 보고서를 보면 한국 수출에서 대아세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11.6%에서 2018년 16.5%로 4.9%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무역수지 흑자는 19억6천만달러에서 404억8천만달러(약 47조3천억원)로 크게 늘었다.
미중 무역분쟁, 일본의 수출규제 등 전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확산하는 상황에서 아세안은 무역 다변화 차원에서도 중요한 시장이다.
다만 2000년 이후 한국의 전체 수입 중 아세안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은 11% 전후에서 정체돼 있어 추후 불공정 무역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 협력 확대를 위해서는 수입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조언했다.
현정부 들어 아세안이 신남방 정책의 핵심지역으로 떠오르면서 아세안 회원국과의 양자 혹은 다자 간 자유무역협정(FTA) 협의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아세안과의 첫 양자협의 결실인 한·인도네시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이 지난 10월 실질 타결됐고, 7년을 끌어온 세계 최대이자 한국 첫 메가 FTA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은 지난 5일 타결됐다.
오는 25∼26일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는 한국과 아세안 간 협력을 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2일 부산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아세안과 두터운 신뢰를 토대로 미래동반성장의 상생협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