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전 총장의 비리로 충격을 받았을 주체는 무엇보다 학교 구성원일 것이다. 특히 총장의 가족이 쓰는 사택의 인테리어 비용이나 펜션 구입비로 쓰일지 모르고 연간 800만원이 넘는 등록금을 낸 학생들은 가장 큰 피해자다. 일반 사기업이라면 가족들이 합심해 영리 활동을 할 수도 있겠지만, 대학은 엄연히 교육기관이다. 설립자의 가족이 총장을 맡았다고 해서 공공의 재산을 마음대로 쓰거나, 비리를 숨기기 위해 직원들에게 허위 공문서를 작성하도록 강요할 수 없다는 얘기다.
신한대가 오명을 벗기까진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지역을 대표하는 대학인 신한대가 언젠가는 비싼 등록금만큼이나 투명한 회계로 전국 순위에 오르내리길 바란다. 전 총장의 뉴스로 상처를 입고 분노했을 학생들을 위해 지금부터라도 학교와 학교 법인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길 기대한다. 대학에는 다양한 주체들이 있다. 학교 법인뿐만 아니라 학생과 교수, 교직원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역할을 다할 때 대학은 존립할 수 있다. 총장이나 총장 일가가 학교의 주인 행세를 하며 모든 것을 좌지우지했던 시대는 오래전에 지났다.
/김도란 지역사회부(의정부) 기자 dora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