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겨울철이 다가오며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초소를 운영하는 지자체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3개월 이상 초소를 운영하다보니 피로 누적과 상당한 재정 소요문제, 한파로 인한 소독약 결빙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
24일 의정부시에 따르면 지난 19일부터 8곳에서 운영하던 방역초소를 가능동과 녹양동 2곳으로 축소 운영하고 있다. 의정부는 돼지 사육농가가 없는 지역이지만 김포, 파주, 연천 등 인근에서 돼지열병이 발생, 예방차원에서 방역활동에 동참했다.
축소운영은 돼지열병이 나타난 이후 50일 이상 지났다는 점을 감안했다. 또 간헐적으로 한파가 몰아닥치면서 소독약이 어는 등 사고 유발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경기북부 최대 돼지 사육지역인 포천시는 돼지열병 발생 이후 매달 10억원 가량의 재정을 방역활동에 쏟아붓고 있다.
양돈농가가 163곳이나 되는 포천시는 모두 155곳(농장초소 143·거점초소 12)이나 방역초소를 운영해 왔다.
최고 수준의 방역을 펼쳐오던 포천시도 최근 24시간 운영되던 농가초소 운영을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12시간 운영으로 전환했다. 이 역시 피로 누적·재정 소요·잠복기 등을 고려한 선택이었다.
파주시도 상황은 비슷하다. 돼지열병 발생 지역인 파주시는 지난 9월 중순 돼지열병이 발생하고 살처분 30일이 지나 바이러스 확인 작업을 펼쳤다.
아프리카돼지열병 긴급행동지침(SOP)에 따르면 '마지막 살처분이 끝난 날부터 30일이 지난 후 예찰지역 안의 감수성 가축에 대한 임상검사, 혈청검사 및 환경검사 결과에서 이상이 없는 경우 예찰지역을 해제' 할 수 있다.
검사 결과 아무런 이상이 없었지만, 정부는 위험성이 크다는 이유로 여전히 해제를 허가하지 않았다. 파주시 관계자는 "기간제 근로자가 1일 3교대로 초소에 투입되는데 인건비도 만만치 않다"며 "거점초소만 남겨놔도 되지 않겠냐는 말이 현장에서 나온다"고 했다.
의정부시 관계자도 "파주·김포·연천 돼지가 모두 살처분된 상황이고 우리 시에는 돼지가 1마리도 없는데 계속된 방역활동으로 직원들의 피로감이 상당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정부는 추가 발병이 없자 지난 12일 경기 남부지역에대해 거점초소만 남기고 농장초소 전체를 철수했다.
/김도란·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