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경기도와 협의체 구성 주력
미세 플라스틱 모니터링도 집중
오류동에 기관 설립 '체계적 업무'

인천시가 인천·경기·서울 일대에 걸쳐 있는 한강하구 지역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생태 연구는 물론 세계적 이슈가 되고 있는 미세 플라스틱에 대한 모니터링 조사에도 집중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인천시는 27일 시청 장미홀에서 '한강하구 생태·환경 통합관리체계 구축' 최종보고회를 열고 한강하구 통합관리 로드맵을 발표했다.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법제도·체계 수립 ▲한강하구 인식제고 ▲수질·생태 연구조사 ▲남·북 평화특별지대 조성 분야 등에 대한 한강하구 통합관리 단기사업계획(안)을 마련했다.

시는 우선 내년부터 해수부·환경부·통일부 등 중앙부처는 물론 경기도와 함께 한강하구 통합 관리를 위한 협의체 구성에 주력할 방침이다.

협의체는 한강하구 수질 보전과 쓰레기 관리, 생태계 연구·관리, 남북 협력 사업 공동 추진 등의 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지금까지 연구가 많이 이뤄지지 않은 한강하구 생태 연구는 물론 최근 세계적 이슈인 미세 플라스틱 조사에서도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시는 협의체가 완성되면 서구 오류동에 '한강하구 생태·환경 통합관리기관'을 설립해 생태계 조사·복원 관리, 수질 오염 조사, 대외 협력 업무, 주민 교육 등을 체계적으로 수행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유훈수 인천시 수질환경 과장은 "용역을 진행하면서 중앙부처, 경기도와 한강하구 통합관리 협의체와 센터 마련에 사전 협조를 구했고, 구체적인 방향은 용역 결과를 토대로 공유해 나갈 것"이라며 "흩어져 있는 한강하구 관리가 통합되면 수질 보호와 생태계 관리 문제가 크게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강하구는 인천시, 경기도 고양·파주·김포시와 서울 일부 지역에 67㎞ 길이로 걸쳐 있으며 국가하천 6개소, 지방하천 44개소가 있다. 환경부, 국토부, 해양수산부, 지자체 등 관리 주체와 관련 법령이 제각각이라 수질 관리 등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