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인천시가 대북지원사업자로 지정됐다. 통일부가 11월 21일자로 경기도와 인천시가 북측과의 안정적인 관계 유지, 인도적 지원 물자 분배 투명성 확보 등 지정요건을 갖췄다고 판단하여 대북지원사업자로 지정한 것이다. 경기도와 인천시는 접경지대에 위치해 있어 분단의 최대 피해지역이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대북지원사업을 앞장서서 추진해왔지만 정작 대북지원사업자로 지정되지 않아서 사업추진 때마다 민간단체의 힘을 빌려야만 했다. 향후 자체적으로 북과의 직접 접촉을 통한 대북지원이 가능하게 돼 보다 신속하고 탄력성 있는 대북 인도적 지원사업도 가능해진 것이다.

독자적인 사업이 가능해진 만큼 지방정부의 책임도 커졌다. 정부에 제출한 지자체별 남북교류협력 사업들은 대부분 유사하거나 당장 북측이 호응할 가능성이 없는 사업들이다. 그렇다면 북측의 체제와 이념적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실현 가능성이 높은 사업을 발굴해야 한다. 현재 하노이회담이 결렬로 끝나면서 교착기가 이어지고 있다. 2019년 6월 30일, 판문점에서 남북미 정상회동과 국면전환의 가능성을 보였으나 헬싱키 실무회담이 성과 없이 끝나면서 비핵화 협상의 교착국면은 이어지고 있다. 남북교류는 북미 비핵화 협상에 보조를 맞출 수밖에 없다. 또 정부 간의 교류가 답보상태라면 지방의 역할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물론 비핵화협상의 진전이나 미국의 입장을 너무 의식하여 개성공단 문제나 금강산 관광문제에 대해 우리 정부가 적극적 해법을 제시할 수 있는 시기를 놓친 것에 대한 지적도 있다.

비핵화협상의 교착 때문에, 그리고 대북 경제제재가 작동되고 있다고 해서 모든 평화교류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지방정부와 민간영역에서는 창의적 방식의 교류 협력을 추진함으로써 정부와 북미간 교착 상태를 타개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 수도 있다. 유엔이나 북한이 참여하고 있는 국제기구를 통한 교류, 중국이 참여할 수 있는 교류사업도 하나의 방법이다. 남북간 교류협력이 전면화하지 않더라도 평화체제를 정착하기 위한 지방 차원의 실천과제들이 많다. 내부적 갈등을 완화하는 평화기반 조성 사업도 중요하다. 시민과 청소년들을 위한 현장 중심의 체감도 높은 평화교육, 분단의 상흔이 남은 공간을 평화공간으로 바꾸고 이산가족과 북한이탈주민들의 상처를 치유하는 사업 등은 지방정부의 중요한 역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