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12901001986500095661.jpg
쾌한 이비인후과 강남본원 안태환 원장

겨울 감기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코막힘이 발생하기도 하고 지속적으로 누런 콧물이 나오거나 콧물이 목 뒤로 넘어가는 후비루 증상 등을 겪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감기는 쉽게 치료될 수 있지만, 이러한 증상이 축농증으로 알려진 부비동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은 유념해야 한다.

부비동은 코주위 뼈 안에 비어있는 공간으로 비강과 연결돼 있는 4개의 공기주머니로 구성된 구조물이다.

축농증은 부비동 내 공기의 환기, 분비물 배설 등 지속적으로 콧물이 만들어져 비강을 통해 몸 밖으로 빠져나가야 하는데 이러한 기능에 장애가 생겨 발생하게 된다. 부비동 입구 부위의 점막이 염증에 의해 부으면서 입구가 막히고 농이 계속 쌓여 부비동염, 축농증의 증상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코막힘, 이로 인해 노폐물 배설의 장애로 생긴 누런 콧물, 콧물을 목으로 넘기는 후비루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호흡 시 냄새가 나거나 후각이 감퇴될 수 있고 두통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부비동염은 감기와 복합적으로 나타난 급성 부비동염과 이러한 급성 부비동염을 제대로 치료하지 못하여 나타난 만성 부비동염으로 나뉠 수 있다. 급성 부비동염은 감기나 알레르기 비염으로 부비동과 비강간의 통로가 막힌 상태이며, 만성 부비동염은 3개월 이상 부비동염 증상이 지속되고 코 안의 구조적 이상 또는 비용종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급성 부비동염은 적절한 약물치료를 해주면 증상이 호전되고 회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약물 치료의 기간은 최대 2주 정도로 보고 있으며 본인에게 맞는 항생제의 선택이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약물로 치료되지 않고 3개월 이상 부비동염의 증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수술적 치료는 기본적으로 내시경을 통해 콧속을 보며 부비동에 쌓여있는 농을 제거하고 막혀 있는 공간을 뚫어주어 환기와 배농이 용이하도록 해준다. 수술 전에 복잡한 부비동의 해부학적 구조를 파악하고 부비동염의 확산 정도를 진단하기 위해 CT촬영을 한 이후 이를 참고하여 내시경 수술을 하게 된다. 부비동염 수술 이후에도 수술만큼 경과 관리, 치료 과정이 중요하며 오랜 기간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도움말 상쾌한 이비인후과 강남본원 안태환 원장·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