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22901001648800082341
신지영 정치부 기자
"수원여객은 600대 가량 버스를 보유한 수원지역의 최대 버스업체죠? 공공재원이 투입되는 버스업체를 금융자본이 잠식하면 공공성이 훼손될 수 있을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김명원 경기도의원) "현재 법적으로도 사모펀드의 여객운수 사업 참여를 막고 있는 것도 아니고 제도적으로도 그렇고요. 수원여객 같은 경우는 (인수한 지)시간이 좀 지났는데 아직 특별히 문제점을 보인다거나 그런 사항은 없었습니다."(허승범 경기도 교통국장)

지난달 21일 열린 경기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는 경기도 버스업체를 사모펀드가 잇따라 인수(10월 31일자 1면 보도)한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수원여객과 부천의 소신여객은 최근 몇 년 사이 경영권이 사모펀드로 넘어갔다. 가업 승계가 일반적인 버스 업계에선 이례적인 일이었다. 사모펀드가 수원여객을 인수한 뒤, 수원 버스업계에는 몇 가지 변화가 있었다. 현재 수원에선 전기버스가 거리를 누빈다. 타 업체에선 비용 문제로 도입을 꺼린 친환경 전기버스를 수원여객이 전격 도입한 것이다. 기사의 출퇴근을 명확히 기록하고, 휴일을 보장해 직원들의 만족도가 높아졌다는 얘기도 들린다. 일반 버스업체에선 할 수 없는 경영혁신을 사모펀드가 앞장서 수행하고 있는 셈이다. 공공재원이 투입되는 버스를 사모펀드가 인수하며, 공공의 돈으로 펀드 투자자의 배를 불릴 수 있다는 우려와 사모펀드가 선진 경영을 이끈다는 긍정의 시선이 교차한다. 행정사무감사 내용을 조금 더 들여다보자.

"고배당이 투자목적이라고 유추할 수 있는 사모펀드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지 않겠나 생각이 드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김명원 경기도의원) "사모펀드나 개인사업자나 사실 다 사업을 하시는 이유는 영업이익을 창출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런데 저희가 공공재원을 투입해서 지원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관리 감독하고 또 재정을 통해서 지나치게 많은 이익을 가져가지 않도록 조절해야 될 의무는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허승범 경기도 교통국장)

내년엔 경기도의 버스준공영제 도입이 가시화될 전망이다. 도가 밝힌 것처럼 공공이 감시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아야 사모펀드에 공공재원이 흘러가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언론도 감시를 게을리하지 않을 것이다.

/신지영 정치부 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