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 자일동 이전 증설, 인근도시 반발·환경영향평가 탓 1년 지연
구리·남양주 소각로 확충·양주 SRF발전소 건립도 주민반대 부딪혀


의정부, 양주, 구리 등 경기북부 지자체들이 쓰레기 소각시설 건립을 놓고 진통을 겪고 있다.

29일 각 지자체 등에 따르면 의정부시는 2023년 가동을 목표로 현 장암동에 위치한 자원회수시설(소각장)을 자일동으로 이전 증설을 추진해 왔지만, 건립 예정지와 인근 지역 일부 주민을 비롯해 인접 도시인 포천·양주시가 반대하면서 암초를 만났다.

환경부 한강유역환경청도 포천시 주민 등의 광릉숲 영향평가 필요성 주장에 손을 들어 의정부시에 1년간 환경영향평가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고, 결국 1년간 사업은 지연이 불가피하게 됐다.

소각장 이전 건립을 반대하는 주민들은 의정부시에 이전 계획 백지화와 민주적인 소통을 통한 친환경 소각장 건설을 요구하고 있다.

자일동 소각장 결사반대 민락대책위는 최근 성명을 통해 "그동안 인근 지자체와 지역 주민들이 광릉숲과 자일동 부지의 많은 문제점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 것이 환경부와 국민권익위의 방침에 반영됐다"며 "의정부시는 2021년까지 쓸 수 있는 장암동 소각장 노후화에 대한 안전과 기존 시설 재활용 여부 등을 면밀히 점검하며 친환경 소각장 시설을 위한 대책을 시민들과 민주적인 소통으로 함께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구리시는 남양주시와 함께 1천688억원을 투입해 현 자원회수시설 옆에 소각로 1기를 증설하는 '에코 커뮤니티 사업'으로 시끄럽다. 전임 시장이 중단했던 사업을 구리시가 재추진하자 일부 시민들이 대책위원회를 구성,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대책위는 "설문조사와 토론회에서 반대 의견이 훨씬 많았는데 민간자본으로 소각로를 증설하는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주변에 학교와 아파트가 많아 피해가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의정부시와 구리시의 경우 민간투자방식으로 사업이 진행되는 데 따른 문제제기도 있다.

민간투자 사업의 경우 시가 대규모 재정을 직접 투입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있지만, 운영 과정에서 업체가 수익성 등을 이유로 처리 비용을 올리면 그 피해는 온전히 시민에게 돌아가기 때문이다.

양주시에선 생활 쓰레기를 고형연료(SRF)로 가공한 뒤 소각해 전기를 생산하는 열병합발전소를 두고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민간업체 2곳이 각각 2016년과 2018년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건립 허가를 받고, 시로부터 건축 허가까지 받자 일부 시민이 반대 운동에 나섰기 때문이다.

열병합발전소 반대 시민모임은 "SRF 발전소는 다른 지역 쓰레기를 들여와 소각, 초미세먼지와 악취,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는 주범"이라며 "시민 건강과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막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소각장은 시민들을 위해 꼭 필요한 시설"이라며 "처리해야 할 쓰레기는 늘고 있는데 주민 반발은 계속되고, 이로 인해 사업이 계속 지연되는 것은 모두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김도란기자 dora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