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자 관리 원칙 불구 24억 투입
공사 인턴십 홍보했지만 채용 '0'


경기도가 도민 안전과 청년 일자리,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며 시행하고 있는 'LP가스 안전지킴이 사업'이 단기 땜질식 일자리 사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7일 도에 따르면 도와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지난해 3월 협약을 맺고, LP가스 안전지킴이를 운영했다.

지난 2018년 12월 강릉의 한 펜션에서 가스보일러 유독가스 유출로 고교생 3명이 숨지고 7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가스 안전 강화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형성된데 따른 것이다.

LP가스 안전지킴이는 사용시설 안전관리자 양성교육을 이수하고 지역의 LP가스 사용시설을 돌며 점검하는 역할로, 도는 지난해 24억7천여만원(국·도·시비)의 예산을 투입해 174명의 LP가스 안전지킴이를 채용하고 용인시 등 5개 시 14만2천여곳에 대해 안전점검을 실시했다.

올해에도 22억2천만원을 들여 158명을 고용, 고양시 등 12개 시군, 14만여곳의 LP가스 사용시설을 점검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LP가스안전점검은 공급자의 책임인데 공공기관이 수십억원의 예산을 투입해서 별도의 LP가스 관리인력을 운영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는 지적과 함께, 청년 일자리 사업으로서의 효과도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LP가스 안전지킴이의 활동기간이 5개월여에 불과해 청년들에게는 한시적인 일자리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또 LP가스시설을 직접 돌아보기 위해서는 장거리 이동이 불가피한데, 여비를 포함해 약 210만원의 월급을 받고 있어 실제 급여는 낮은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LP가스 안전지킴이 활동이 공사의 인턴십 기간으로 잡혀 공사 채용 시 서류심사에서 가점을 받는다고 홍보하고 있지만, 실제 채용으로 이어진 사례는 현재까지 단 한 사람도 없는 상황이다.

도 관계자는 "LP가스는 공급자가 관리해야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업체가 영세해 미흡한 부분이 있어 LP가스 안전지킴이가 대신 역할을 하고 있다"며 "올해에는 다양한 일자리 사업과 연계해서 청년들이 안정적인 일자리를 얻는데 디딤돌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