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11601000811200040611
김태양 인천본사 사회부 기자
"회사 앞이어서 세워놓은 건데 주정차 금지구역인지 몰랐습니다."

최근 인천지역의 소방용수시설 주변 불법 주정차 문제를 취재하다가 만난 운전자에게 들은 말이었다. 그가 주차해 놓은 곳 바로 옆에는 소화전이 설치돼 있었고, 인도와 차도 사이 연석에는 '소방시설 주정차금지' 문구가 적혀 있는 적색 노면 표시가 있었다. 조금만 살펴봐도 주정차 금지구역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곳이었다. 며칠이 지나고 다시 찾은 그곳에는 다른 차량이 똑같이 주차하고 있었다. 소방용수시설 주변 불법 주정차는 길을 가다 보면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소화전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적색 노면 표시는 정부가 소방용수시설 주변 불법 주정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치하도록 한 안전표지다. 신속한 소방활동을 위해 필요한 곳을 우선으로 적색 노면 표시를 하고 있다. 연석 등에는 눈에 잘 띄는 적색 노면 표시, 도로에는 '소화전 주차금지'라는 노란색 문구가 크게 적혀 있지만, 운전자들은 이를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듯하다. 소화전 등은 화재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필요한 중요시설이다. 화재 진압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기 때문이다. 화재현장을 다니며 찰나의 순간 불길이 크게 번지는 상황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일각을 다투는 화재현장에서 물 공급을 방해하는 불법 주정차는 '재난'과 같다. 운전자들은 "잠깐이면 되겠지"라며 자신이 조금 더 편하기 위해 불법 주정차를 한다. 단속에 걸리지 않고, 과태료만 내지 않으면 된다는 생각 때문일 것이다.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모르는 게 재난이다. 자신과 가족, 이웃 등 누구나 소화전 주변 불법 주정차한 차량으로 재난 속에 갇힐 수 있다. 안전문제는 조금씩 양보하다 보면 끝이 없다. 큰 재난을 예방하기 위해 소화전 불법 주정차에 대한 운전자들의 의식 개선은 물론 지자체, 소방당국 등 단속 주체의 적극적인 단속이 필요하다.

/김태양 인천본사 사회부 기자 ks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