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4년 행정구역 개편… 지명 변경
두곳서 한 자씩 합성 121개 '최다'


'일제시대 창씨개명뿐만 아니라 창지개명(創地改名)도?'

일제강점기 당시 우리 고유의 정서와 의식을 말살하고자 지역명칭까지 변경된 것으로 드러났다.

도가 도내 398개 읍·면·동을 대상으로 일제강점기 당시 명칭 변경 여부를 조사한 결과, 이 중 40%인 160곳이 당시 고유의 명칭을 잃은 것으로 확인됐다.

16일 도에 따르면 일본은 일제강점기에 식민통치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1914년 대대적으로 행정구역을 개편하고 우리나라 지명을 변경했다. 이 시기 전국 330여개 군이 220개 군으로 통합됐고, 경기도는 36개에서 20개 군으로 축소됐다.

과거 지명이 현재까지 유지된 읍·면·동은 137곳(35%)이고, 해방 전이나 해방 후를 포함해 지명이 변경된 곳은 228곳으로 분석됐다.

특히 일제강점기 일제가 변경한 읍·면·동 지명은 160곳으로 전체의 40%나 됐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도 전체 지명의 절반에 가까운 우리 고유의 지명 이름을 변경한 것이다.

두 지명에서 한 자씩 선택해 합친 '합성지명'이 121곳으로 가장 많았다. 대표적인 '합성지명' 사례가 성남시 서현동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일제는 둔서촌, 양현리, 통로동 등을 병합하면서 한 글자씩 따 서현동으로 변경했다. 수원시 구운동, 성남시 분당동, 용인시 신갈동, 화성시 매송면 등도 두 곳 이상의 지명을 합성해 만들었다.

지명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향토 정서가 왜곡된 사례도 있었다. 안성시 일죽면이 대표적인데, 일제는 1914년 죽산군을 폐지하며 남일면, 남이면, 북일면, 북이면, 제촌면을 안성군의 죽일면으로 만들었으나, 듣기에 따라서는 욕이었기 때문에 죽일면은 결국 이듬해 일죽면으로 변경됐다.

곽윤석 경기도 홍보기획관은 "반도체 수출규제 문제로 한일관계가 갈등국면에 놓인 이 시점에서 고유지명이 사라졌던 역사적 치욕을 바라보며, 진정한 민족의 독립과 문화창달의 과제가 여전히 남아있음을 느끼게 된다"고 말했다.

/조영상기자 donal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