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자동차 판매업에 종사하고 있는 친구의 말을 듣고 전세자동차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전세자동차를 전문으로 취급하는 업체의 사이트에 들어가 보니 간단한 설명이 먼저 눈에 들어왔다.
전세주택처럼 보증금을 내고 차량을 이용한 뒤 일정 계약기간이 지나면 보증금 전액을 돌려주는 방식이었다. 사고가 나도 나중에 돌려받는 보증금이 줄어드는 것도 아니었고, 감가상각마저 없어 나조차도 기회가 된다면 전세자동차를 이용하고 싶을 정도였다.
하지만 차분하게 내용을 읽어보니 허점 투성이였다. 주택은 시간이 지나면 가격이 오를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반드시 가격이 내려가는 차량을 왜 별다른 이득 없이 빌려주는 것일까에 대한 의문이 가장 컸다.
주변에 자동차 리스·대여를 하는 지인과 경제전문가들과도 고민을 나눠봤지만 마땅한 해답은 나오지 않았다. 해당 업체는 전세자동차 보증금으로 일반 렌터카 3대를 출고해 수익을 낸다고 하지만 이 구조가 성립되려면 전세자동차 이용자 1명당 일반 렌터카 이용자 3명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대기업이 렌터카시장에 뛰어들면서 이미 포화상태인 시장에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기란 '하늘의 별 따기'와 같다고 모두 입을 모았다. 이는 그럴듯한 수익 구조로 피해자를 현혹하는 다단계와 다를 바 없었다.
이와 함께 대부분은 계약기간이 종료되는 4년 뒤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지만 본격적으로 사업이 시행된 지 2년여 만에 보증금을 냈음에도 차량을 받지 못하는 등의 상황이 발생했다.
피해자들은 현재 조만간 돈을 돌려주겠다는 업체의 말만 철석같이 믿고 기다림의 시간을 보내고 있지만 정부 및 수사기관의 도움이 절실한 상황이다. 하루빨리 모두가 상황의 심각성을 깨닫고 사태 해결에 동참하기를 기대한다.
/이준석 경제부 기자 lj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