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가 새해부터 선보인 '통큰기사'의 두번째 기획인 '희망의 그늘 쌍용차 그리고 평택'은 운명공동체로 묶인 한 기업과 한 도시가 처한 위기의 본질이 얼마나 다층적인지 보여주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2018년 9월 쌍용자동차 노사가 해고자 전원복직에 합의하자 "쌍용차 해고자 119명 전원복직 합의. 매우 기쁘고 감회가 깊다"며 "걱정이 많으셨을 국민께 희망의 소식이 되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대통령은 이에 앞서 7월 인도 방문에서 쌍용차 대주주인 마힌드라 회장을 만나 해고자 복직을 직접 당부했었다. 하지만 119명 중 46명은 여전히 유급 휴직 상태고, 사측의 대규모 정리해고와 노조의 옥쇄파업이 충돌한 2009년의 쌍용차 위기는 2020년에도 재현되고 있다.

쌍용차와 평택의 위기의식은 괜한 것이 아니다. 전례가 있다. 한국GM 군산공장 폐쇄다. 한국GM 생산공장이 폐쇄되자 군산은 물론 전북경제가 침몰했다. 2013년 전북 수출의 29.3%, 2012년 지역내 총생산규모 4조8천억원이 공장폐쇄로 지금은 사라졌다. 일자리가 사라지면서 1만2천명이 군산을 떠났고, 협력업체는 170여개에서 100여개로 줄었고 고용인원도 4분의 3이 줄었다.

기자들이 만난 평택시민들은 군산의 불안이 남의 일이 아니라고 한다. 쌍용차 노동자는 평택시민이다. 평택서민 경제의 80~90%를 차지한다. 쌍용차가 잘못되면 수많은 실직자 가정으로 평택경제가 가라앉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시민들의 불안은 말 그대로 걱정에 그친다. 정작 쌍용차를 정상화할 노사는 여전히 겉돌고 있다. 사측인 마힌드라 그룹은 최근 회사 정상화를 위한 5천억원 자본 투입계획을 밝혔지만, 직접 투자 2천300억원 외에 2천700억원 조달 방안은 오리무중이다. 노조 측은 회사의 구조조정 가능성을 의심하며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 해고자 복직을 위해 대통령이 직접 나섰던 정부는, 산업은행을 내세워 쌍용차 자금지원의 전제로 구조조정을 요구하고 있다.

쌍용차의 위기는 급변하는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에서 뒤처진 탓이다. '상하이자동차'와 '마힌드라' 그룹 등 외국자본의 약탈적, 소극적 경영이 원인이다. 하지만 쌍용차에는 평택시의 미래와 노동자의 생계가 걸려있다. 군산은 한국GM 공장폐쇄 이후 그 자리에 상생형 일자리 프로젝트가 가동됐다. 쌍용차의 평택은 사후가 아니라 사전에 상생형 쌍용회생 프로젝트가 가동돼야 한다. 여기에 노·사·민·정이 머리를 맞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