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30201000074500003871
이원근 사회부 기자
시민들의 생활을 바꾸어 놓을 만큼 코로나19의 영향력이 막대하지만 정작 정부 대응은 아쉽다는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우려한 교육부와 보건복지부가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비롯한 각급 학교의 개학을 1주일 연기하자 일부 부모들은 자체 휴가를 사용해 아이들과 함께 집에서 생활하고 있다. 시민들이 외부 활동을 자제하면서 소상공인들도 적지 않게 타격을 입고 있다. 이들은 정부가 발표하는 확진자 동선을 날마다 확인하면서 갈수록 줄어가는 매출에 안타까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용인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김모(38)씨는 "코로나19 확산 전과 비교하면 주말 기준 매출이 70% 이상 감소했다"며 "인건비도 나오지 않는 상황이 계속되면 가게 문을 열지 않는 것이 더 나을 지도 모르겠다"라고 토로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7일부터 농협과 우체국 등 공적 판매처를 통해 일반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는 마스크를 하루에 350만장씩 공급한다고 밝혔지만 현장에서는 마스크 구하기가 여전히 '하늘의 별 따기'다. 마스크 가격은 코로나19 사태 전과 비교하면 2∼3배가량 올라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1일에는 학교들이 비축한 학생용 마스크를 대구·경북에 보내기로 하면서 학교 현장은 혼란을 겪고 있다. 앞서 교육부는 코로나19 확산 초기에 감염증 관련 현황을 통제하려 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교육부는 도교육청이 제공하던 코로나19에 따른 자가격리자 수, 학교와 유치원 개학 연기 현황 등을 지역 단위가 아닌 전국 단위 현황으로만 공개하도록 해 정확한 정보가 필요했던 학부모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시민 개개인의 보건 의식도 중요하지만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야 하는 정부의 책임도 막중하다. 코로나19 추경안 편성 등 발 빠른 대책과 맞물려 시민들의 생활안정을 위한 세심한 행정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이원근 사회부 기자 lwg33@kyeongin.com